천자문주해 (53) 썸네일형 리스트형 천자문 주해 26 (千字文 註解) 景行維賢(경행유현)이요 克念作聖(극념작성)이라 사진 이수형 천자문 주해 26 景行維賢이요 克念作聖이라 경 행 유 현 극 념 작 성 직 역 큰길[大道]을 가면 오직 훌륭한 사람이 되고, 능히 (살펴) 생각하면 성인이 된다. 景行維賢 【훈음】 景(경):볕 경. 클 경. 크다(大也). 경치 경. 行(행):길 행. 길이다(道也). 다닐 행. 維(유):벼리 유. 오직 유. 여기서는 “惟(오직 유)”와 같다. 어조사 유. 맬 유. 賢(현):어질 현. 덕행과 재능이 남보다 뛰어난 것을 어질다고 한다 (德行才能過人曰賢). 【주해】 景行(경행) : 큰 길. 대도(大道). 고상한 덕행. 詩經(시경)․小雅(소아)․車舝(거할) - “높은 산을 우러러 보며, 큰길을 간다(高山仰止, 景行行止).” 注: “경행은 큰길이다(景行, 大道也).” 여기서 앞의 ‘行’은 ‘길 도’이고.. 천자문 주해 25 (千字文 註解) 墨悲絲染(묵비사염)이요 詩讚羔羊(시찬고양)이라 사진 이수형 천자문 주해 25 墨悲絲染이요 詩讚羔羊이라 묵 비 사 염 시 찬 고 양 직 역 묵자(墨子)는 실이 물드는 것을 슬퍼하였고, 시경(詩經)에서는 「고양(羔羊)」편을 찬미하였다. 의 역 1 묵자는 흰 실이 (붉거나 검게, 또는 나쁘게) 물드는 것을 슬퍼하였고, 시경 에서는 (문왕의 교화를 받아 백성들이 좋게 변한 것을 노래한)「고양」편의 덕을 찬미하였다. 의 역 2 묵자는 흰 실이 쉽게 물드는 것을 슬퍼하였고, 시경 에서는 군자의 품덕(品德)이 새끼 양처럼 깨끗하고 흼을 찬미하였다. 墨悲絲染 【훈음】 墨(묵):먹 묵. 여기서는 묵자(墨子)를 가리킴. 姓也. 悲(비):슬플 비. 슬퍼할 비. 感也. 絲(사):실 사. 누에가 토해 낸 실(蠶所吐). 染(염):물들일 염. 흰색에 색깔을 가하는 것. 【주해.. 천자문 주해 24(千字文 註解) 信使可覆(신사기복)이요 器欲難量(기욕난량)이라 사진 이수형 천자문 주해 24 信使可覆이요 器欲難量이라 신 사 가 복 기 욕 난 량 직 역 약속은 실천할 수 있게 하고, 기량은 (남이) 헤아리기 어렵게 하고자 한다. 信使可覆 【훈음】 信(신):약속 신. 믿을 신. 알차다(實也). 誠也. 使(사):하여금 사. 시킬, 부릴 사. 하여금(令也). 可(가): 가할 가. 옳을 가. 할 수 있다. 覆(복): 덮을 복. 실천하다. 반복하다. 되풀이할 복. 되풀이하여 증 험하다(復驗也). 復也. 【주해】 論語(논어)․學而(학이) - “약속이 의에 가까우면, 그 약속한 말을 실천할 수 있다(信近於義, 言可復也).” ‘신사가복(信使可覆)’ 구는 ‘신의는 거듭 실천할 수 있게 하고’라 해석해도 되겠다. 믿음이 있는 일은 되풀이해서 이행해야 될 것이다. 내가 신의가 있으면.. 천자문 주해 23(千字文 註解) 罔談彼短(망단피단)이요 靡恃己長(미시기장)하라 사진 이수형 천자문 주해 23 罔談彼短이요 靡恃己長하라 망 담 피 단 미 시 기 장 직 역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과시하지 마라. 罔談彼短 【훈음】 罔(망):말 망. 경계하는 말. 하지 말라. 없을 망. 談(담):이야기할 담. 말하다(言也). 말씀 담. 생각대로 말하다(縱 言). 彼(피):저 피. 자신에 상대하여 말한 것이다. 短(단):짧을 단. 결점, 허물 단. 허물(過也). 【주해】 “군자는 자신의 행실을 닦는 것을 급히 여기기 때문에 남의 장단점을 점검할 겨를이 없다. 맹자는 말하길 ‘남의 불선(不善)을 말하다가 장차 후환(後患)을 어찌 하려는가?’(孟子曰, 言人之不善, 當如後患何)라 하였으니, 마땅히 깊이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註解千字文) 그러나 상대방에 대한 사회정의.. 천자문 주해 22(千字文 註解) 知過必改(지과필개)요 得能莫忘(득능막망)하라 사진 이수형 ** 아래는 오상(五常)을 닦는 일을 피력하고 있다. 천자문 주해 22 知過必改요 得能莫忘하라 지 과 필 개 득 능 막 망 직 역 허물을 알았으면 반드시 고치고, 능력을 얻었거든 잊지를 마라. 知過必改 【훈음】 知(지):알 지. 過(과):허물 과. 지날 과. 지나칠 과. 잘못(失誤). 必(필):반드시 필. 꼭 필. 改(개):고칠 개. 고치다(更也). 【주해】 論語(논어)․子罕(자한) - “허물이 있으면 고치길 꺼려하지 말라(過則勿憚改).” “자로(子路: 중유仲由, 공자의 제자)는 자신의 잘못을 듣기 좋아하여 남들이 잘못을 말해주면 기뻐하였다. 이는 잘못을 들으면 알아서 반드시 고치려고 해서였으니, 백세(百世)의 스승이라 할 만하다.”(註解千字文) 得能莫忘 【훈음】 得(득):얻을 득. 구하여 .. 천자문 주해 21(千字文 註解) 女慕貞烈(여모정렬) 이요 男效才良(남효재량)이라 천자문 주해 21女慕貞烈이요 男效才良이라 여 모 정 렬 남 효 재 량 직 역여자는 곧고 굳은 절개를 사모하고,남자는 재능[능력]과 어짊[덕]을 본받아야 한다. 女慕貞烈 【훈음】女(녀):여자 녀. 계집 녀.慕(모):사모할 모. 사랑하다(愛也). 생각하다(思也). 그리워할 모.貞(정):곧을 정. 바를 정. 바르고 굳음이다(正而固也).烈(렬):매울 렬. 절개 굳을 렬. 맹렬 렬. 智永眞書千字文에는 “絜 (깨끗할 결)”. 어떤 판본에는 “潔(깨끗할 결)”. 【주해】貞烈(정렬):여자의 지조가 곧고 매움.男效才良【훈음】男(남):사내 남. 사나이 남. 장부(丈夫). 效(효):본받을 효. 본받다(法也).才(재):재주 재. 능력 있는 사람(有能者). 재주(藝也).良(량):어질 량. 좋을 량. 선량한 마음. 덕이 있는.. 천자문 주해 20(千字文 註解) 恭惟鞠養(공유국양) 컨대 豈敢毁傷(기감훼상)가 사진 이수형 ** 아래는 배우는 자의 수신(修身)을 말하고 있다. 천자문 주해 20 恭惟鞠養컨대 豈敢毁傷가 공 유 국 양 기 감 훼 상 직 역 공손히 (부모님께서) 키워주고 길러주신 은혜를 생각하건대, 어찌 감히 (내 몸을) 헐고 상하게 할까보냐. 恭惟鞠養 【훈음】 恭(공):공손할 공. 공경할 공. 공경하다(敬也). 惟(유):생각할 유. 생각하다(思也). 오직 유. 오직(獨也). 鞠(국):기를 국. 기르다(養也). 養(양):기를 양. 【주해】 鞠養(국양): 기름. 양육함. 詩經(시경)․小雅(소아)․蓼莪(육아) - “아버지여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여 나를 길러주셨네. 나를 어루만지고 나를 길러주시며, 나를 자라게 하고 나를 키워주셨네. 나를 돌아보고 나를 다시 돌아보셨네. 출입할 때에 나를 가슴속에 두시니.. 천자문 주해 19(千字文 註解) 蓋此身髮(개차신발)은 四大五常(사대오상)이라 사진 이수형 천자문 주해 19 蓋此身髮은 四大五常이라 개 차 신 발 사 대 오 상 직 역 대개 이 몸과 머리털은, 사대(四大 : 불교의 4대 구성요소)와 오상(五常)이다. 의 역 대개 몸과 머리 터럭과 살갗[身體髮膚]은, 지수화풍(地水火風)의 사대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오상(다섯 가지 기본적 덕목)이다. 蓋此身髮 【훈음】 蓋(개):대개 개. 발어사(發語詞). 덮을 개. 덮다(覆也). 此(차):이 차. ↔ 彼(저 피). 身(신):몸 신. 몸(軀也). 髮(발):터럭 발. 머리털 발. 머리털(頭毛). 【주해】 身髮(신발):신체발부(身體髮膚)의 줄인 말. 4언시인 관계로 4자를 2자에 압축시키고 있다. 四大五常 【훈음】 四(사):넉 사. 大(대):큰 대. 五(오):다섯 오. 常(상):떳떳할 상. 經也. 항..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