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소동파

(65)
소동파사선 52. 달빛은 들판의 출렁이는 얕은 강물을 비추고 西江月(照野瀰瀰淺浪) 사진 이수형 소동파사선 52. 달빛은 들판의 출렁이는 얕은 강물을 비추고 西江月(照野瀰瀰淺浪) 근래 황주(黃州)에서 봄날 밤에 기수(蘄水) 주위를 가다가, 주막에 들러 술을 마시고 취했다. 달빛을 타고서 개울에 놓여있는 다리 위에 이르러, 말안장을 풀고는 팔을 베고 취해 누워서 잠시 쉬었다. 깨어보니 벌써 새벽이었다. 산들이 울멍줄멍 둘러싸여 있고 냇물소리는 출렁출렁 들려오니 아마도 속세가 아닌 듯했다. 이에 다리기둥에다가 이 사(詞)를 쓴다 달빛은 들판의 출렁이는 얕은 강물을 비추고 층층 구름은 은은하게 하늘에 걸려 있다. 말다래도 풀기 전에 옥총마(玉驄馬)는 좋아서 펄펄 뛰는데 나는 취한 채 향내나는 풀밭에서 잠들고 싶어라. 개울 가득 선선한 바람과 휘영청한 저 달빛 영롱한 저 달빛을 (말이) 짓밟아..
소동파사선 51. 산기슭 냇가에 난초의 새 움이 터 계곡 물에 적시고 浣溪沙(山下蘭芽短浸溪) 사진 이수형 소동파사선 51. 산기슭 냇가에 난초의 새 움이 터 계곡 물에 적시고 浣溪沙(山下蘭芽短浸溪) 기수(蘄水)의 청천사(淸泉寺)에서 노닐다. 절이 난계(蘭溪) 위에 있는데, 시냇물이 서쪽으로 흐른다 산기슭 냇가에 난초의 새 움이 터 시냇물에 젖고 솔밭 사이 모랫길은 진흙 하나 없이 씻은 듯 깨끗한데 쏴아 내리는 저녁비 속에 소쩍새 울어댄다. 누가 말했나. 인생에 젊음이 두 번 다시 오지 않는다고. 문 앞의 냇물은 오히려 서쪽으로 흐르거늘 사람도 다시 젊어질 수 있으니 백발이라고 세월이 덧없이 감을 한탄하지 말게나. 遊蘄水淸泉寺. 寺臨蘭溪, 溪水西流 山下蘭芽短浸溪. 松間沙路淨無泥. 蕭蕭暮雨子規啼. 誰道人生無再少, 門前流水尙能西. 休將白髮唱黃雞. [주석] . 蘄水(기수): 縣의 이름. 지금의 호북성 ..
소동파사선 50. 숲을 뚫고 나뭇잎 때리는 빗소리엔 개의치 말고 定風波(莫聽穿林打葉聲) 사진 이수형 소동파사선 50. 숲을 뚫고 나뭇잎 때리는 빗소리엔 개의치 말고 定風波(莫聽穿林打葉聲) 3월 7일, 사호(沙湖)로 가는 도중에 비를 만났는데, 우비를 가진 이가 앞서 갔으므로 동행자들은 모두 허둥지둥 했으나 나는 유독 낭패감을 느끼지 못했다. 이윽고 드디어 날이 개어 이 사(詞)를 짓는다 숲을 뚫고 나뭇잎 때리는 빗소리엔 개의치 말고 읊조리며 빗속을 어정어정 거니는 것이 어떠랴. 죽장(竹杖)에 짚신신고 걷는 게 말타기보다 경쾌한데 무엇이 두려우랴! 안개비 속에 도롱이 입고 한 평생 살아가리. 쌀쌀한 봄바람에 술기운 깨니 몸은 약간 썰렁하고 산꼭대기 석양은 나를 맞는데 지금껏 쏴 비바람 불었던 곳을 되돌아보누나. 돌아가리라 풍우가 있다고 슬플 것도 개여도 좋을 것도 없다. [원문] 三月七日, ..
소동파 사선 -치마 입은 여자 허리춤에 꽃이 분분히 나풀거려도 꽃이 좋아 쓸지 아니한다. 사진 이수형 31. 진관(秦觀)의 매화시에 화답하여 和秦太虛梅花 서호처사 임포는 죽어 유골은 바싹 말라 버렸는데 단지 그대의 이 시가 있어 임포의 매화시를 압도하네. 동파선생은 마음이 이미 사그라져 재가 되었는데 그대의 매화시를 좋아한 까닭에 매화에 의해 번뇌하게 되었다네. 매화꽃 구경하려고 말을 세워 황혼을 기다리니 잔설은 아직 덜 녹았는데 달은 일찌감치 떠오르네. 강가의 수많은 나무엔 봄 싹이 아직 안돌아 어둑어둑 한데 대나무 밖에 매화 한 가지 빗기어 피니 경치 더욱 좋더라. 서호의 고산(孤山) 아래 술 취해 누어 자던 곳 치마 입은 여자 허리춤에 꽃이 분분히 나풀거려도 꽃이 좋아 쓸지 아니한다. 만 리 먼 곳에서 온 봄빛은 귀양 온 나를 따라 황주로 오고 십년 동안 매화꽃을 보내고 나는 늙어만 간..
소동파 시선_봄바람이 돌이 깨질 정도로 불더니 사진 이수형 2. 매화2수 梅花二首 2-1 其一 봄이 오자 그윽한 골짜기엔 냇물이 졸졸 흘러 반짝반짝 매화가 가시풀 사이에 선명하게 피었다. 하루 밤새에 봄바람이 돌이 깨질 정도로 불더니 반은 날리는 눈 따라 매화꽃이 관산을 넘었다. 春來幽谷水潺潺, 的皪梅花草棘間. 一夜東風吹石裂, 半隨飛雪度關山. (권20) [주석] . 潺潺(잔잔): 졸졸. 시냇물이 흐르는 모양. . 的皪(적력): 반짝반짝. 선명하다. 선명한 모양. . 東風(동풍): 봄바람. . 關山(관산): 황주(黃州)로 가는 길에 있다. 산중을 가다보면 관문이 많은데, 지리지에, ‘마성현(麻城縣)에는 호두(虎頭), 황토(黃土), 목릉(木陵), 백사(白沙). 대성(大城) 등의 다섯 관문이 있다’고 한다. [해제] 45세(원풍元豐3년, 1080년) 정월..
[소동파시선 - 황주유배와 사환후기]원전 ​ 사진 이수형 [소동파 시선 - 황주 유배와 사환 후기] 원전 10. 새벽에 파하(巴河) 어구에 이르러 자유(子由)를 맞이하다 曉至巴河口迎子由 작년 어사대 감옥에 갇혀 있을 때 사방이 벽으로 가로막혀 거동조차 할 수 없었지. 컴컴한 백 척(百尺)의 우물 안과 같아 하늘을 우러러봐도 한 구석 없이 꽉 막혔었지. 담장 너머에선 노래하고 부르는 소리 떠들썩한데 스스로 내 계책 글렀다고 한탄하네. 시를 짓고도 차마 적질 못하고 괴로운 눈물만이 종이와 붓을 적시었지. 이제 남은 여생 또 얼마나 다행인가 즐거운 일은 오늘에 있으리. 강물은 거울 면처럼 맑은데 안개비는 살짝 휩싸여 있다. 외로운 배는 오리와 같이 천 이랑 푸른 물결을 갈라 나간다. 듣자 하니 그대는 자호에 있다던데 만나려 한다면 지척 거리이다. 아..
소동파 사선 “붉은 햇빛에 따스해진 다홍빛 연못물 속에 물고기 보이고” 사진 이수형 33. 浣溪沙 서문(徐門)의 석담(石潭)에서 비가 온데 대한 감사의 제사를 지내고, 길가에서 5수를 짓다. 徐門石潭謝雨, 道上作五首 其一 붉은 햇빛에 따스해진 다홍빛 연못물 속에 물고기 보이고 이어진 시냇물엔 녹음 짙어 저녁 까마귀 숨는구나. 어린아이 늙은이들 한데 모여 즐거워라. 사슴은 사람 만나 서먹서먹하지만 원숭이는 북소리 듣고 몰려오니 부를 필요도 없네. 집에 돌아와 뽕따는 아낙에게 이야기해 주네. 照日深紅暖見魚. 連溪綠暗晩藏烏. 黃童白叟聚睢盱. 麋鹿逢人雖未慣, 猿猱聞鼓不須呼. 歸家說與釆桑姑. [주석] . 題序: 一作, “徐門의 石潭에서 비가 내린 데 대한 감사의 제사를 지내고, 돌아오는 도중에 5수를 짓다. 石潭은 성의 동쪽 20리 되는 곳에 있는데, 항상 泗水가 불고 줄어듦에 따라..
소동파 사선 “구슬 같은 눈물 이미 두 눈썹에 맺혔네.” ​ ​ 27. 滿江紅 정월 13일, 문안 국(文安國)이 조정으로 돌아감을 보내며 하늘이 어이 무정하리 하늘도 알리라 다정히 손님을 머무르게 할 줄을. 봄은 따뜻해 가더니 아침 되어 무슨 일로 도리어 가벼운 눈발 날리는가. 그대는 때를 만나 벼슬 인끈을 맬 터이지만 나는 응당 돌아가 산수의 경치를 찾아야 하리. 두려운 건 훗날 한 잔 술로 서로 그리워함이라 구름 산에 막혀 있으니까. 뜬구름 같은 세상일은 모두 예측하기 어려워라. 사람 비록 건강하지만 머리칼 희어지리니 어찌 다시 한번 취하는 것 마다하리. 이 즐거움 찾기 힘드네. 가인(佳人)에게 이별의 수심 하소연하려 하니 구슬 같은 눈물 이미 두 눈썹에 맺혔네. 다만 새로운 제비 올 때에 편지나 끊게 하지 마오. 正月十三日, 送文安國還朝 天豈無情, 天也解..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