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자문주해

천자문 주해 17(千字文 註解), 鳴鳳在樹(명봉재수)요 白駒食場(백구식장)이라

728x90
반응형
SMALL

사진 이수형

천자문 주해 17

鳴鳳在樹요 白駒食場이라

명 봉 재 수     백 구 식 장

  

(위와 같이 하니) 우는 봉황새는 나무에 (앉아) 있고,

 망아지는 마당에서 (풀을) 먹는다.

 

鳴鳳在樹

【훈음】

鳴(명):울 명. 새 울음소리(鳥聲).

鳳(봉):봉새 봉. 새와 벌레의 으뜸(羽蟲之長). 신조(神鳥).

在(재):있을 재.

 樹(수):나무 수. 어떤 판본에는 “죽(竹)”.

【주해】

봉황(鳳凰)은 성인이 세상에 나오면 나타난다는 새인데, 도가 있으면 나타난다고 하는 영험한 새이다. 봉(鳳)은 수컷이고, 황(凰)은 암컷이다.

詩經(시경)․大雅(대아)․卷阿(권아)󰡕 - “봉황새가 우니, 저 높은 뫼이로다. 오동나무가 자라니, 저 산의 동쪽이로다[저 아침 볕 나는 곳이다](鳳凰鳴矣, 于彼高岡. 梧桐生矣, 于彼朝陽).”  

  朱子注(주자주) - “봉황의 성질은 오동나무가 아니면 깃들지 않고 죽실(竹實: 대나무 열매)이 아니면 먹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는 훌륭한 선비가 거주할 곳을 얻음을 비유한 것이다.

白駒食場

【훈음】

白(백):흰 백.

駒(구):망아지 구.

食(식):먹을 식.

場(장):마당 장. 除地爲場.

【주해】

詩經(시경)․小雅(소아)․白駒(백구) - “깨끗한 흰 망아지, 우리 마당에서 풀싹을 먹는다(皎皎白駒, 食我場苗).”

場(장) : 마당. 밭. 타작마당. 가을에는 지면을 다져 단단하게 한 다음에 수확할 곡물을 탈곡하기도 했다.

제후가(현인이) 타고 온 흰 망아지가 임금의 마당에서 풀을 먹는다, 곧 멀리 있는 사람들도 임금의 명망을 듣고 몰려들어 통치권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 훌륭한 정치의 상징인 봉황새

* 인재 초빙 - 통치영역의 확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