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이수형
천자문 주해18
化被草木이오 賴及萬方이라
화 피 초 목 뇌 급 만 방
직 역 |
덕화(德化)가 초목에까지 입혀지고, 신뢰감[왕의 은덕]이 만천하에까지 (널리) 미치게 된다. |
의 역 |
(왕의) 덕화가 (백성은 물론) 초목에까지 입혀지고, 왕의 은덕이 만천하 곧 세계만방 곳곳에까지 널리 미치게 된다. |
化被草木
【훈음】
化(화):화할 화. 교화할 화. 변하다(變也). 어떤 상태가 다른 상태 로 되는 변화.
被(피):입을 피. 미칠 피. 미치다(及也).
草(초):풀 초. 百卉艸.
木(목):나무 목.
【주해】
化(화) : (임금의) 교화(敎化), 덕화(德化)를 의미하고 있다.
“그 중화(中和)를 지극히 하여 비 오고 해 뜨는 것이 제때에 맞게 되면 무지한 초목들도 인(仁)의 교화를 입게 된다. 시경(詩經)에서 주(周)나라 왕실을 찬미하여 이르기를, ‘주왕(周王)이 인자하고 후덕하여, 은택이 초목에 미쳤다’고 한 것이 이것이다.”(註解千字文)
賴及萬方
【훈음】
賴(뢰):힘입을 뢰. 의뢰하는 힘. 利也. 의지할 뢰.
及(급):미칠 급. 이를 급.
萬(만):일만 만. 萬은 ‘가득찬 수(盈數)’이다.
方(방):장소 방. 모 방.
【주해】
賴(뇌) : 임금의 은덕. 신뢰감. 힘입음. 혜택. 이로움. 앞 구에서 덕의 교화를 중시하고, 이 구에서는 덕의 힘, 용력(勇力)을 중시하고 있다. 이렇듯 훌륭한 통치자는 덕(德)과 힘[力] 이 두 가지에 다 균형을 맞추어 힘을 쏟아 저력을 널리 세계만방에 펼치고 있다.
賴及萬方(뇌급만방) : 임금의 은덕(신뢰감)이 만방[만천하]에 미친다.
萬方(만방):동서남북, 상하팔방. 세계 각지. 전국 각지. 모든 곳.
“갓난아기를 보호하듯이 백성을 아껴 인덕(仁德)과 은택이 널리 퍼지면 만방이 지극히 넓지만 영원히 의지하지 않음이 없게 된다.”(註解千字文)
書經(서경)․虞書(우서)․益稷(익직) - “많은 백성이 곡식을 먹게 되니 만방이 다스려졌다(烝民乃粒, 萬方作乂).”
詩經(시경)․大雅(대아)․行葦(행위)- “주왕(周王)이 인자하고 후덕하여 은택이 초목에까지 미쳤다.(周王仁厚, 澤及草木).”
中庸(중용) - “군자는 어울리면서도 휩쓸리지 않으니, 강하구나 꿋꿋함이여. 우뚝하게 서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으니, 강하구나 꿋꿋함이여.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궁할 때의 의지를 변치 않으니, 강하구나, 꿋꿋함이여.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 죽음에 이르러도 지조를 변치 않으니, 강하구나 꿋꿋함이여(君子和而不流, 强哉矯! 中立而不倚, 强哉矯! 國有道不變塞焉, 强哉矯! 國無道至死不變, 强哉矯!)”
“도가 있는 임금이 있으면, 그 어진 덕이 만물에 미치게 된다. 봉황과 망아지도 그 적합한 곳을 얻게 되며, 초목까지도 그 덕화(德化)를 입게 된다. 이렇듯 이로움이 만방에 미치게 되어, 그 혜택을 입지 않는 사물이 없게 된다.”(『千字文釋義』)
이는 훌륭한 임금의 덕택이 사물에까지 미치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상은 제1장이다. 이 장은 하늘, 땅, 그리고 사람의 도를 말하여 천자문의 발단으로 삼았다.
제1절은 천지가 처음 열릴 때부터 말하기 시작하여 천지의 유래가 저절로 있음을 보이고 있다.
제2절에서 제4절까지는 1절의 하늘의 도를 이어서 말하였다. 하늘은 해, 달, 별, 구름, 비, 서리, 이슬이 있어 4계절과 음과 양의 두 기운을 이루니, 하늘의 도의 큰 것을 보였다.
제5절에서 제7절까지는 제1절의 땅의 도를 이어서 말하였다. 땅이 만물을 내어, 금, 옥, 진주, 보배의 진기함, 산천초목(山川草木)의 성대함, 새, 짐승, 벌레, 물고기의 번다함이 있어, 땅의 도의 광대함을 보였다.
제8절에서 제13절까지는 1절의 우주를 이어서 말하고 있다. 천지창조 이전의 혼돈상태 이래로 삼황(三皇), 오제(五帝), 삼왕(三王)이 인문을 개발하고 일을 이룩하여 백성의 쓰임에 앞서서 하고, 백성을 인애(仁愛)하고 사물을 사랑하여 덕택을 넓힘으로써 사람 일의 성대함을 보이고 있다.”(千字文釋義)
* 덕화(德化)와 신뢰의 힘[임금의 은덕]이 만방에 펼쳐짐
'천자문주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주해 23(千字文 註解) 罔談彼短(망단피단)이요 靡恃己長(미시기장)하라 (0) | 2020.03.17 |
---|---|
천자문 주해 22(千字文 註解) 知過必改(지과필개)요 得能莫忘(득능막망)하라 (0) | 2020.03.17 |
천자문 주해 21(千字文 註解) 女慕貞烈(여모정렬) 이요 男效才良(남효재량)이라 (0) | 2020.03.17 |
천자문 주해 20(千字文 註解) 恭惟鞠養(공유국양) 컨대 豈敢毁傷(기감훼상)가 (0) | 2020.03.15 |
천자문 주해 19(千字文 註解) 蓋此身髮(개차신발)은 四大五常(사대오상)이라 (0) | 2020.03.15 |
천자문 주해 17(千字文 註解), 鳴鳳在樹(명봉재수)요 白駒食場(백구식장)이라 (0) | 2020.03.15 |
천자문 주해 16 (千字文 註解) 遐邇壹體(하이일체)로 率賓歸王(솔빈귀왕)이라 (0) | 2020.03.11 |
천자문 주해 15(千字文 註解) 愛育黎首(애육려수)요 臣伏戎羌(신복융강)이라 (0) | 2020.03.11 |
천자문 주해 14 (千字文 註解) 坐朝問道(좌조문도)하니 垂拱平章(수공평장)이라 (0) | 2020.03.11 |
천자문 주해 13 (千字文 註解) 弔民伐罪(조민벌죄)는 周發殷湯(주발은탕)이라 (0) | 2020.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