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이수형
천자문 주해 12
推位讓國은 有虞陶唐이요
추 위 양 국 유 우 도 당
직 역
자리를 넘겨주어 나라를 사양한 이는,
유우(有虞)와 도당(陶唐)이다.
의 역
임금의 자리를 미루어 주고 나라를 사양한 이는,
유우씨 순임금과 도당씨 요임금이다.
推位讓國
【훈음】
推(추): 밀 추. 미룰 추. 천거할 추. 順遷. 밀 퇴.
位(위): 자리 위. 여기서는 ‘임금의 자리’이다. 성인의 큰 보배를 지위(임금의 자리)라고 한다(聖人之大寶曰位).
讓(양): 사양할 양.
國(국): 나라 국. 土地也. 邦國通稱.
【주해】
임금의 지위와 나라를 넘겨주는 평화적 정권교체의 예이다. 요임금과 순임금은 덕과 능력을 갖춘 적임자를 자신의 후계자로 정하여 왕위 이양을 단행했으니, 바로 요임금은 순에게, 또 순임금은 우(禹)에게 국가지도권을 넘긴 것이다. 우임금은 훗날 하(夏)왕조를 건립하였다. 이후 세습제로 굳어지게 된다.
有虞陶唐
【훈음】
有(유):있을 유. 어조사. 여기서는 어떤 조대(朝代) 이름 앞에 붙 는 접두어이다. 예) 有明(명나라) / 有淸(청나라) - ‘有’는 ‘크다’의 뜻이라 한다. 또 한 글자로 말을 이루지 못하면 ‘有’자를 보태어 짝하니, 예를 들면 우(虞), 하(夏), 은(殷), 주(周)는 모두 나라이름인데, 유우(有虞), 유하(有夏), 유은(有殷), 유주(有周)라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虞(우):나라이름 우. 순(舜)의 국호(國號). 추측할 우. 염려할 우.
陶(도):질그릇 도. 와기(瓦器). 여기서는 땅이름.
唐(당):당나라 당.
【주해】
“유우(有虞)는 순임금이요 도당(陶唐)은 요임금이다. 요(堯)임금의 아들 단주(丹朱)가 불초(不肖)하므로 순(舜)에게 양보하였고, 순(舜)임금의 아들 상균(商均)이 불초하므로 하(夏)의 우왕(禹王)에게 자리를 양보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추위양국(推位讓國)’이다.”(註解千字文)
虞(우):전설상의 왕조로서 순(舜)임금이 건국했다고 한다. 실제로는 작은 나라로서 오늘날 고을 정도의 규모였을 것이다.
有虞(유우) : 유우씨(有虞氏), 즉 순(舜), 이름은 중화(重華). 상고시대 부락연맹의 영수(領袖). 후에 순임금은 홍수를 다스리는데 공을 세운 우(禹)에게 선양(禪讓)하였다.(지위를 넘겨주었다). 전설에는 그 수령(首領)인 순(舜)은 요임금의 선양(禪讓)을 받아 포판(蒲阪)에 도읍하였다고 한다. 그 터가 지금의 산서성 영제현(永濟縣) 동남에 있다. ‘유(有)’는 접두어이다.
여기서 선양(禪讓)이란 선위(禪位)라고도 하는데, 임금이 생존 중에 그 자리를 타성(他姓)의 덕과 능력을 겸비한 사람에게 물려주는 일이다.
陶唐(도당): 도당씨(陶唐氏). 요(堯)임금. 이름은 방훈(放勛). 상고시대 부락연맹의 영수(領袖). 순(舜)을 선발하여 3년 동안 시험해 본 후, 순에게 양위하였다.
요(堯)는 “처음에 ‘도구(陶丘)’에서 살다가 후에 ‘당(唐: 지금의 하북성 당현 지방)’으로 옮겨 살았기 때문에 이렇게 칭한다.”(千字文釋義)
요(堯)임금은 재위 70년 만에 순(舜)에게 선양하였고, 순임금은 재위 50년 만에 우(禹)에게 선양하였다. 우임금이 하(夏)나라를 세운 이래 아들에게 세습되었다.
小學(소학)․稽古(계고) - 맹자께서 본성이 선(善)함을 말씀하시되, 말씀마다 반드시 요순(堯舜)을 일컬으셨다. 그 말씀에 “순(舜)은 천하에 법이 되시어 후세에 전해질 수 있었는데, 나는 아직도 향인(鄕人)이 됨을 면하지 못하니, 이것은 근심할 만한 일이다. 근심한다면 어찌해야 하는가? 순과 같이 할 뿐이다(孟子道性善, 言必稱堯舜. 其言曰, 舜爲法於天下, 可傳於後世, 我猶未免爲鄕人也. 是則可憂也. 憂之如何, 如舜而已矣).”
中庸(중용) - 공자님께서 말씀하셨다. “순임금은 큰 지혜이실 것이다. 순임금은 묻기를 좋아하시고, 일상적인 데에 가까운 말을 살피기 좋아하시되, 악을 숨겨주고 선(善)을 드러내시며, 두 끝을 잡으시어 그 중(中)을 백성에게 적용하셨으니, 그 때문에 순임금이 되신 것이다”(子曰, “舜其大知也與! 舜好問而好察邇言, 隱惡而揚善, 執其兩端, 用其中於民, 其斯以爲舜乎).”
朱子注(주자주) - “순임금이 큰 지혜가 되신 까닭은 자기 지혜를 쓰지 않고 남에게서 취하셨기 때문이다. 이언(邇言)은 일상적인 데에 가까운 말인데도 오히려 반드시 살피셨으니, 그 버린 선(善)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말의 선하지 못한 것은 숨겨주고 드러내지 않으며, 그 선한 것은 전파하고 숨기지 아니하여, 광대하고 광명함이 또 이와 같았으니, 사람들이 그 누가 선으로써 말해주기를 즐거워하지 않겠는가. 양단(兩端)은 중론(衆論)이 같지 않음의 극치를 이룬다. 모든 사물에는 다 양단이 있으니, 소(小)와 대(大), 후(厚)와 박(薄)과 같은 종류이다. 선(善)의 가운데에 또 그 두 끝을 잡고서 헤아려 중(中)을 취한 뒤에 쓴다면, 택함이 분명하고 행함이 지극한 것이다.”
夏(하): 나라 이름. 중국 전설상의 최고(最古)의 왕조로서, 치수(治水)에 공로가 있는 우(禹)가 순임금으로부터 선양을 받아서 세운 나라.
시대상으로는 요임금, 순임금의 차례이므로, ‘도당유우(陶唐有虞)’라 해야 옳겠으나, ‘唐’이 운자(韻字)여서 ‘유우도당(有虞陶唐)’으로 도치시켰다.
“이 절은 우임금과 순임금이 천자의 지위와 넓은 토지를 다른 사람에게 양위한 것을 말하고 있다.”(千字文釋義)
* 고대 훌륭한 임금의 후계자 선정 사례: 선양(禪讓) - 능력과 덕을 시험한 후 후계자 선정
'천자문주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주해 17(千字文 註解), 鳴鳳在樹(명봉재수)요 白駒食場(백구식장)이라 (0) | 2020.03.15 |
---|---|
천자문 주해 16 (千字文 註解) 遐邇壹體(하이일체)로 率賓歸王(솔빈귀왕)이라 (0) | 2020.03.11 |
천자문 주해 15(千字文 註解) 愛育黎首(애육려수)요 臣伏戎羌(신복융강)이라 (0) | 2020.03.11 |
천자문 주해 14 (千字文 註解) 坐朝問道(좌조문도)하니 垂拱平章(수공평장)이라 (0) | 2020.03.11 |
천자문 주해 13 (千字文 註解) 弔民伐罪(조민벌죄)는 周發殷湯(주발은탕)이라 (0) | 2020.03.11 |
천자문 주해 11(千字文 註解) 始制文字(시제문자)하고 乃服衣裳(내복의상)이라 (0) | 2020.03.11 |
천자문 주해 10 (千字文 註解), 龍師火帝(용사화제)와 鳥官人皇(조관인황)은 (0) | 2020.03.09 |
천자문 주해(千字文 註解)9,해함하담(海鹹河淡)이요 인잠우상(鱗潛羽翔)이라 (0) | 2019.12.21 |
천자문(千字文)2, 천자문주해, 일월영측이요 신수렬장이라, 해와 달은 차고 기울며, 별과 별자리들은 벌여 있고 펼쳐져 있다. (0) | 2019.11.25 |
천자문(千字文)1, 천자문주해, 천지현황이요 우주홍황이라. 하늘은 검붉고 땅은누루다, (0) | 201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