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溪居
시냇가에 살며
柳宗元
오랫동안 벼슬살이에 매여 있다가
다행히도 이제 남쪽 오랑캐 땅으로 귀양왔구나
한가로이 농가와 이웃하여 의지하니
우연히도 산림 속 은자와 같구나.
새벽이면 이슬 맺힌 풀 뒤집어 밭을 갈고
밤이면 노를 저으니 시냇물 돌 부딪혀 소리나네.
오나가나 만나는 사람 하나 없고
길게 노래 부르니 초(楚)땅 하늘만 푸르구나.
久爲簪組束, 幸此南夷謫.
閑依農圃鄰, 偶似山林客.
曉耕翻露草, 夜榜響溪石.
來往不逢人, 長歌楚天碧.
원화(元和) 5년(810)에 유종원이 호남성 영주(永州)에 유배되어 있을 때, 우계(愚溪)에서 지은 시이다. 한가로이 사는 경지를 묘사하고 있다. 타향에서의 외로움 가운데 자연과 융합되고 있는 작자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관직에 얽매어 있다가 유배되어 한가한 자연을 벗할 수 있으니 관점에 따라선 다행이기도 하겠다. 불행을 다행으로 여기는 발상의 전환이 돋보인다.
❖溪(계): 冉溪(염계). 유종원이 영주(永州) 영릉(零陵)의 염계(冉溪) 가에다 집을 지었는데, 그 냇물을 “우계(愚溪)”라고 명명하였다. 「우계시서(愚溪詩序)」 참조.
❖簪組(잠조): 관(冠)의 비녀와 인끈. 벼슬아치에게 사용된다. 여기서는 벼슬아치가 됨을 뜻한다. 簪(잠): 비녀. 관이 벗겨지지 않도록 관의 끈을 꿰어 머리에 꽂는 비녀. 동곳. 組(조): 인끈. 수(綏).
❖束(속): 속박되다. 어떤 판본에서는 ‘累’.
❖幸此南夷謫(행차남이적): 남쪽 변방으로 유배된 것을 다행으로 여기다. 南夷謫(남이적): 유종원(柳宗元)이 영주(永州)로 좌천됨을 말한다. 南夷(남이): 옛날에 남방 이민족 또는 다른 나라를 폄하하는 말로, 여기서는 영주(永州)를 가리킨다.
❖農圃(농포): 농부의 채마밭.
❖榜(방): 노. 노를 젖다.
❖響溪石(향계석): 상앗대가 시냇물의 돌에 닿았을 때 내는 소리.
❖楚天(초천): 그가 좌천된 곳 영주(永州)는 남방 초(楚)땅이었기 때문에 초(楚)땅 하늘이라고 했다.
당시 삼백수 정선
唐詩三百首精選
손 수 편
조규백 역주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金陵酒肆留別 금릉 주막에서 이별하며 시를 남기다 이백(李白) (0) | 2021.08.06 |
---|---|
22. 夜歸鹿門歌 밤에 녹문산(鹿門山)으로 돌아가며 맹호연 (孟浩然) (0) | 2021.08.04 |
21. 登幽州臺歌 유주대에 올라 진자앙 (陳子昻) (0) | 2021.08.04 |
20. 遊子吟 집 떠난 나그네의 노래 맹교 (孟郊) (0) | 2021.08.04 |
19. 子夜吳歌 자야오가 이백(李白) 조규백 (0) | 2021.08.04 |
15. 長安遇馮著 장안(長安)에서 풍저(馮著)를 만나고 위응물(韋應物)。 (0) | 2021.07.28 |
13. 初發揚子寄元大校書 양자진(揚子津)을 떠나면서 원대 교서랑(元大校書郞)에게 부치다 위응물(韋應物)。 (0) | 2021.07.28 |
11. 春泛若耶溪 봄날 약야계(若耶溪)에 배를 띄우고 기무잠(綦毋潛)。 (0) | 2021.07.26 |
14. 寄全椒山中道士 전초(全椒)의 산중 도사에게 부치다 위응물(韋應物)。 (0) | 2021.07.26 |
12. 宿王昌齡隱居 왕창령(王昌齡)의 은거지에서 묵으며 상건(常建)。당시삼백수 (0) | 2021.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