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시삼백수

13. 初發揚子寄元大校書 양자진(揚子津)을 떠나면서 원대 교서랑(元大校書郞)에게 부치다 위응물(韋應物)。

728x90
반응형
SMALL
사진 이수형



13. 初發揚子寄元大校書
양자진(揚子津)을 떠나면서 원대 교서랑(元大校書郞)에게 부치다
韋應物

서글피 친한 벗을 이별하고
아득히 물안개 속으로 들어간다.
낙양(洛陽)으로 가는 배를 타니
나무 사이로 광릉(廣陵)의 은은한 종소리 들린다.

오늘 아침 여기서 헤어지면
어디서 다시 만나게 될까?
세상살이 물결위에 뜬 배와 같으니
물결 따라 떠돌다 어느 곳에 멈출 것인가?

悽悽去親愛, 泛泛入煙霧.
歸棹洛陽人, 殘鐘廣陵樹.
今朝爲此別, 何處還相遇.
世事波上舟, 沿洄安得住.


이 시는 대력(大曆) 9년(774)에 위응물(韋應物)이 강한(江漢)을 유람하고 돌아올 때에 지었다. 벗과 이별하는 정경을 묘사하고 있다. 위응물은 원대가 있는 광릉을 떠나 낙양을 향하고 있다.
❖初發(초발): 출발하다. 떠나다.
❖揚子(양자): 나루터 이름. 양자진(揚子津). 지금의 강소성 강도현(江都縣)의 남쪽에 있다.
❖元大(원대): 미상. 배항(排行)의 첫째를 “대(大)”라고 한다.
❖校書(교서): 관명(官名). 교서랑(校書郞). 당대(唐代)에 비서성(秘書省) 및 홍문관(弘文館)에서 서적을 교감하는 일을 맡았다.
❖悽悽(처처): 서글피.
❖去(거): 이별하다.
❖親愛(친애): 좋은 벗. 친한 벗.
❖泛泛(범범): 아득하다. 배가 물에 떠가는 모양.
❖棹(도): 노. 배를 가리킨다.
❖洛陽人(낙양인): 낙양으로 가는 사람, 곧 위응물 자칭이다.
❖廣陵(광릉): 지금의 강소성 양주시(揚州市).
❖3-4구: 위응물은 원대가 있는 광릉을 떠나 낙양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沿洄(연회): 물길을 따라 오르내리다. 처지의 순역(順逆). 여기서는 배타고 가는 것으로써 세상사를 비유하고 있다. 沿(연): 물의 흐름에 따라. 순류(順流). 洄(회): 역류(逆流).

당시 삼백수 정선
唐詩三百首精選

손 수 편
조규백 역주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