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시삼백수

21. 登幽州臺歌 유주대에 올라 진자앙 (陳子昻)

728x90
반응형
SMALL
사진 이수형


21. 登幽州臺歌
유주대에 올라
陳子昻

앞으로는 옛사람 보이지 않고
뒤로는 올 사람 보이지 않는다.
천지의 아득함을 생각하며
홀로 서글피 눈물만 흘린다.

前不見古人, 後不見來者.
念天地之悠悠, 獨愴然而涕下.


이 시는 만세통천(萬歲通天) 초년(初年)(696)에 진자앙(陳子昻)이 군대를 따라 거란을 정벌할 때 누각에 올라서 지었다. 인생의 짧음과 우주의 무궁함을 개탄하였다. 유주대에 올라 천지고금을 생각하며 그 감회를 적은 시이다. 진자앙이 건안왕(建安王) 무유의(武攸宜)를 따라 거란을 토벌하러 갔을 때, 유주(幽州)에서 지었다. 무유의는 외척(外戚)으로 군사에 관한 일을 알지 못했다. 진자앙은 계책을 올렸으나 그 건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자못 울적하였다. 이 때문에 유주대에 올라 옛날 악의(樂毅)와 연 소왕(燕昭王)의 고사(故事)에 느낌이 있어 이 노래를 이루었다.
❖幽州臺(유주대): 계북루(薊北樓). 계구(薊丘), 연대(燕臺)라고도 한다. 전해 오길, 연 소왕(燕昭王)이 인재를 초빙하기 위해 세운 황금대(黃金臺)로, 옛 터가 지금의 북경시에 있다. 幽州(유주): 군명(郡名)이며, 치소(治所)는 계(薊)로, 지금의 북경 대흥현(大興縣)에 있다.
❖悠悠(유유): 아득하다. 무궁무진한 모양.
❖愴然(창연): 서글피.


愚案: 무한한 시간의 흐름, 광막한 공간 속에 장대한 포부에 불타던 작자가 현 북경 근교의 유주대(幽州臺)에 올라 감회를 노래한 시다. 당시 소인배 상관이 진자앙(陳子昻)의 건의를 묵살하고 오히려 그를 강등시켰다. 이러한 때 홀로 유주대에 올라 천지의 유유함 속에 자신의 이상과 현 위상을 생각하고는 이 시를 지으며 눈물짓는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절절한 감정이 잘 어우러진 좋은 시이다.
1987-1988년 사이 겨울 대학원생 시절 당시삼백수 윤독회(唐詩三百首輪讀會)에 참여하고 있던 때, 나는 이 시를 읽으니 눈물이 핑 돌았다. 그 무언가의 포부와 감동이 되살아났다. 짧은 하나의 시가 이렇게 감동을 주었다면 이는 반드시 성공작이리라. 지금도 가끔 이 시를 읽으면서 내 삶을 다시 되새겨 보고 앞날을 생각해 본다.


이퇴계의 시조

고인도 날 못 뵈고 나도 고인 못뵈
고인을 못뵈어도 녀던 길 앞에 있네.
녀던 길 앞에 있으니 아니녀고 어쩌리.

당시 삼백수 정선
唐詩三百首精選

손 수 편
조규백 역주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