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夜歸鹿門歌
밤에 녹문산(鹿門山)으로 돌아가며
孟浩然
산사(山寺)의 종이 울어 날이 이미 저무니
어량 나루에는 다투어 먼저 건너려는 떠들썩한 소리.
사람들은 모랫길 따라 강마을로 향하는데
나는 또한 배를 타고 녹문산(鹿門山)으로 돌아간다.
녹문산에 달 비추자 숲을 덮었던 저녁안개 걷히고
어느덧 방덕공이 은거했던 곳에 이르렀네.
바위 문, 소나무 숲길은 오랫동안 고요한데
오직 은자만이 홀로 왔다 갔다 한다.
山寺鐘鳴晝已昏, 漁梁渡頭爭渡喧.
人隨沙路向江村, 余亦乘舟歸鹿門.
鹿門月照開煙樹, 忽到龐公棲隱處.
巖扉松徑長寂寥, 惟有幽人自來去.
이 시는 밤에 녹문산으로 돌아가며 길에서 본 것을 묘사하였는데, 옛 현인 방덕공을 사모하는 정회를 펴고 있다.
❖夜歸鹿門歌: 어떤 판본에는 “夜歸鹿門山歌”라 했다.
❖鹿門(녹문): 산 이름. 녹문산. 호북성 양양(襄陽: 지금의 襄樊市)에 있다. 맹호연은 방덕공의 고아한 흥취를 추모하여, 그 또한 여기서 은거하였다.
❖漁梁(어량): 땅이름. 어량주(漁梁州)를 가리키는데, 지금의 호북성 양번(襄樊)성내에 있다.
. 開煙樹(개연수): 달빛이 내려 비추자, 안개로 휘감긴 수목이 점점 드러난다.
❖龐公(방공): 방덕공(龐德公). 후한서(後漢書), 「일민전(逸民傳)」에 “방공(龐公)은 양양(襄陽)사람이다. 형주자사(荊州刺史) 유표(劉表)가 자주 청하였으나 굽히지 않았다. 뒤에 처자식을 데리고 녹문산에 들어가 약초를 캐며 살면서 돌아오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巖扉(암비): 산 바위가 서로 마주하여 마치 문과 같아, 암비(巖扉)라고 하였다.
❖幽人(유인): 숨어사는 사람. 은자. 여기서는 맹호연 자신을 가리킨다.
당시 삼백수 정선
唐詩三百首精選
손 수 편
조규백 역주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行路難, 三首, 其一 세상살이 어려워라 이백(李白) (0) | 2021.08.07 |
---|---|
24. 宣州謝朓樓餞別校書叔雲 선주(宣州) 사조루(謝朓樓)에서 교서랑 이운(李雲) 숙부를 전별하며 이백(李白) (0) | 2021.08.07 |
17. 晨詣超師院讀禪經 새벽에 초(超) 스님의 절에 가서 불경을 읽다 유종원 (柳宗元)。 (0) | 2021.08.06 |
16. 東郊 동쪽 교외 위응물(韋應物)。 (0) | 2021.08.06 |
23. 金陵酒肆留別 금릉 주막에서 이별하며 시를 남기다 이백(李白) (0) | 2021.08.06 |
21. 登幽州臺歌 유주대에 올라 진자앙 (陳子昻) (0) | 2021.08.04 |
20. 遊子吟 집 떠난 나그네의 노래 맹교 (孟郊) (0) | 2021.08.04 |
19. 子夜吳歌 자야오가 이백(李白) 조규백 (0) | 2021.08.04 |
18. 溪居 시냇가에 살며 유종원(柳宗元)。 (0) | 2021.08.02 |
15. 長安遇馮著 장안(長安)에서 풍저(馮著)를 만나고 위응물(韋應物)。 (0) | 2021.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