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2. 宿王昌齡隱居
왕창령(王昌齡)의 은거지에서 묵으며
常建
맑은 시냇물은 깊이를 헤아릴 수 없고
그대 은거하던 곳엔 외로운 조각구름뿐.
소나무 사이로 희미한 달빛이 비추는데
맑은 빛이 아직도 그대를 위해 비추는 듯.
띠풀로 이은 정자 가엔 꽃 그림자 머무르고
약초밭엔 이끼가 자란다.
나 또한 세속을 버리고 떠나
서산에서 난학(鸞鶴)과 살고파라.
淸溪深不測, 隱處唯孤雲.
松際露微月, 淸光猶爲君.
茅亭宿花影, 藥院滋苔紋.
余亦謝時去, 西山鸞鶴群.
이 시는 관직을 사직하고 귀은(歸隱)하는 도중에 지은 시이다. 벼슬로 나가기 전의 벗이 은거했던 곳에 묵으니, 경치에 접하여 감개가 인다.
❖王昌齡(왕창령): 자(字)는 소백(少伯), 성당(盛唐)의 저명한 시인으로, 상건(常建)과는 진사(進士) 과거합격 동기생이다.
❖隱處(은처): 은거하던 곳.
❖露(로): 드러나다.
❖微月(미월): 희미한 달빛.
❖藥院(약원): 약초를 심은 정원.
❖滋(자): 생기다. 자라나다.
❖余(여): 나.
❖謝時(사시): 이 시대를 사직하고 갈 것이다. 이 시대를 떠나가다. 세속의 번거로움을 벗어나다.
❖鸞鶴群(난학군): 난새․학과 무리를 짓다. 난새와 학은 옛날에 선인(仙人)이 탄다는 새이다.
당시 삼백수 정선
唐詩三百首精選
손 수 편
조규백 역주
728x90
반응형
LIST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溪居 시냇가에 살며 유종원(柳宗元)。 (0) | 2021.08.02 |
---|---|
15. 長安遇馮著 장안(長安)에서 풍저(馮著)를 만나고 위응물(韋應物)。 (0) | 2021.07.28 |
13. 初發揚子寄元大校書 양자진(揚子津)을 떠나면서 원대 교서랑(元大校書郞)에게 부치다 위응물(韋應物)。 (0) | 2021.07.28 |
11. 春泛若耶溪 봄날 약야계(若耶溪)에 배를 띄우고 기무잠(綦毋潛)。 (0) | 2021.07.26 |
14. 寄全椒山中道士 전초(全椒)의 산중 도사에게 부치다 위응물(韋應物)。 (0) | 2021.07.26 |
10. 尋西山隱者不遇 서산(西山)의 은자를 찾아 갔으나 만나지 못하고 구위(邱爲)。당시삼백수 (0) | 2021.07.24 |
9. 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업(業) 스님의 산방(山房)에서 묵으며 정대(丁大)를 기다렸으나 오지 않아 맹호연(孟浩然).당시삼백수 (0) | 2021.07.24 |
8. 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여름에 남정(南亭)에서 신대(辛大)를 그리며, 맹호연(孟浩然)。당시삼백수 (0) | 2021.07.24 |
7. 渭川田家 위천(渭川)의 농가 왕유(王維)。당시삼백수 (0) | 2021.07.24 |
6. 靑溪 푸른 시내 왕유(王維) 당시삼백수. (0) | 202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