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靑溪
푸른 시내
王維
황화천(黃花川)에 들어와
매양 푸른 시냇물을 따라 갔지.
산을 따라 만 번이나 돌았건만
간 길은 백리도 못되었지.
어지러운 돌 틈새로 물소리 요란스럽고
깊은 솔숲 속에 산색(山色)은 고요하다.
출렁출렁 물결 따라 물풀은 떠다니고
맑은 시내의 수면에 갈대 그림자 비친다.
내 마음 본디 이미 한가롭거늘
맑은 시냇물도 이처럼 담박하구나.
원컨대 반석 위에 머물러
낚싯대 드리우며 장차 그럭저럭 한평생을 마치려오.
言入黃花川, 每逐靑溪水.
隨山將萬轉, 趣途無百里.
聲喧亂石中, 色靜深松裡.
漾漾泛菱荇, 澄澄映葭葦.
我心素已閑, 淸川澹如此.
請留盤石上, 垂釣將已矣.
이 시는 개원(開元) 25년(737) 왕유가 촉(蜀)으로 들어가는 도중에 산을 따라 물에 떠서 가는 주행(舟行)에서의 경치를 묘사하여 귀은(歸隱)의 뜻을 표현하고 있다.
❖靑溪(청계): 지명으로, 지금의 섬서성 면현(沔縣) 동쪽에 있다. 일설에는, 황화천(黃花川) 일대의 계곡물이라고도 한다. 이 시는 왕유가 촉(蜀) 땅으로 들어가는 도중에 지었다.
❖言(언): 발어조사(發語助詞).
❖黃花川(황화천): 냇물이름. 지금의 섬서성 봉현(鳳縣) 동북쪽 십리에 있다.
❖趣(취): “추(趨)”와 통한다.
❖趣途(취도): 간 노정. 간 길.
❖漾漾(양양): 출렁출렁. 물결이 흘러 움직이는 모양.
❖泛(범): 뜨다.
❖葭葦(가위): 갈대. 갓 나왔을 때를 ‘가(葭)’라 하고, 생긴 후의 것을 ‘위(葦)’라고 한다.
❖盤石(반석): 크고 편편한 돌. 큰 바위.
❖垂釣(수조): 동한(東漢) 때에 엄광(嚴光)은 일찍이 부춘강(富春江) 가에서 은거하면서 낚시를 하였다. 후에 ‘垂釣’는 은거함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請(청): 여기서는 자신에게 청함을 말한다.
❖將已矣(장이의): 장차 이로써 한 생을 마치겠다.
당시 삼백수 정선
唐詩三百首精選
손 수 편
조규백 역주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宿王昌齡隱居 왕창령(王昌齡)의 은거지에서 묵으며 상건(常建)。당시삼백수 (0) | 2021.07.25 |
---|---|
10. 尋西山隱者不遇 서산(西山)의 은자를 찾아 갔으나 만나지 못하고 구위(邱爲)。당시삼백수 (0) | 2021.07.24 |
9. 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 업(業) 스님의 산방(山房)에서 묵으며 정대(丁大)를 기다렸으나 오지 않아 맹호연(孟浩然).당시삼백수 (0) | 2021.07.24 |
8. 하일남정회신대(夏日南亭懷辛大)여름에 남정(南亭)에서 신대(辛大)를 그리며, 맹호연(孟浩然)。당시삼백수 (0) | 2021.07.24 |
7. 渭川田家 위천(渭川)의 농가 왕유(王維)。당시삼백수 (0) | 2021.07.24 |
5. 送別 벗을 보내며 왕유(王維)。 (0) | 2021.07.22 |
4. 贈衛八處士 위팔처사(衛八處士)에게 주다. 두보(杜甫)。 (0) | 2021.07.22 |
3. 望嶽(망악) 태산을 바라보며 杜甫(두보). (0) | 2021.07.22 |
2. 月下獨酌 달빛 아래 홀로 술을 마시며 李白 당시삼백수정선 (0) | 2021.07.21 |
당시삼백수정선1. 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 저물어 푸른산을 내려오는데 산의 달도 나를 따라 돌아온다. (0) | 202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