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시삼백수

4. 贈衛八處士 위팔처사(衛八處士)에게 주다. 두보(杜甫)。

728x90
반응형
SMALL


4. 贈衛八處士
위팔처사(衛八處士)에게 주다
杜甫

사람이 살면서 서로 만나지 못함이여
얼핏 황혼과 새벽에 따로 뜨는 삼성(參星)과 상성(商星) 같구나.
오늘 저녁은 또 어떠한 저녁이길레
함께 등잔불 아래 모였구나.

젊은 시절은 얼마나 되는가?
우리 둘 다 귀밑머리가 이미 허옇게 세었구나.
옛 친구 찾으니 절반이나 귀신이 되었다기에
놀라 부르짖다가 속이 끓는다.

어찌 알았으리? 이십년 세월 흘러
다시 그대 집을 찾아올 줄을.
예전에 이별할 땐 그대 총각이었는데
어느새 아들딸이 줄을 이었구나.

아버지의 친구인 내게 반가이 공대하며
“어디서 오셨지요?” 라고 묻는다.
주고받는 인사말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아이들이 술상을 차려 내오네.

밤비 속에 봄 부추를 잘라오고
새로 지은 밥에는 메조를 섞었더라.
주인은 “만나기가 어렵구나”라고 말하며
연거푸 술을 열 잔이나 들이킨다.

열 잔 술에도 취하지 않으니
그대의 깊은 옛 정 느낄만하네.
내일이면 헤어져 높은 산을 사이에 둘 터
세상일이 (어찌될지) 그대나 나나 아득하도다.

人生不相見, 動如參與商.
今夕復何夕, 共此燈燭光.
少壯能幾時, 鬢髮各已蒼.
訪舊半爲鬼, 驚呼熱中腸.
焉知二十載, 重上君子堂.
昔別君未婚, 兒女忽成行.
怡然敬父執, 問我來何方.
問答未及已, 兒女羅酒漿.
夜雨剪春韭, 新炊間黃粱.
主稱會面難, 一擧累十觴.
十觴亦不醉, 感子故意長.
明日隔山岳, 世事兩茫茫.



이 시는 건원(乾元) 2년(759: 두보 48세)), 두보가 화주사공참군(華州司功參軍) 시절에 지었다. 당시 전란과 흉년을 만났는데, 옛 친구와 상봉하니 그 감개가 깊다.
❖衛八(위팔): 팔(八)은 형제 사이의 서열. 배항(排行). 배항은 형제자매의 장유(長幼)의 순서를 말한다. 보통 형제는 형제끼리만 자매는 자매끼리만의 순서를 말하는데, 이것을 ‘소배항(小排行)’이라 하고, 대가족에서 형제, 자매, 종형제 자매를 모두 포함한 순서를 ‘대배항(大排行)’이라고 한다.
❖處士(처사): 벼슬하지 않은 선비. 은사(隱士).
❖動(동): 왕왕. 걸핏하면.
❖參與商(삼여상): 삼성(參星)과 상성(商星). 삼성(參星)은 해 질 무렵 서방에 상성(商星)은 해 뜰 무렵 동방에 각기 하늘 한 쪽에 있어, 한 별이 뜨면 다른 한 별은 진다. 그러므로 서로 만날 수 없다.
❖今夕復何夕(금석부하석): 󰡔시경(詩經)․당풍(唐風)󰡕, 「주무(綢繆)」, “오늘은 어느 밤이길래, 이 님을 만났는가(今夕何夕, 見此良人).”
❖蒼(창): 회백색. 희끗희끗.
❖訪舊(방구): 옛 친구의 소식을 수소문해 봄. 옛 친구를 방문하다.
❖半爲鬼(반위귀): 절반은 귀신이 되다. 절반은 이미 죽었다.
❖熱中腸(열중장): 창자 속이 뜨거워진다. 속이 끓는다. 속마음이 격동된다. ‘중장(中腸)’은 ‘장중(腸中)’과 같다.
❖君子(군자): 그대. 위팔처사(衛八處士)를 가리킨다.
❖行(항): 줄 항.
❖怡然(이연): 화열(和悅)한 모양. 기쁜 마음으로. 기쁠 이.
❖父執(부집): 아버지의 친구. 집(執)은 집우(執友: 뜻이 같고 道가 서로 통하는 친구)의 생략형.
❖未及已(미급이): 어떤 판본에는 “내미이(乃未已)”라 했다.
❖兒女(아녀): 제16구. 어떤 판본에는 “구아(驅兒)”라 했다.
❖羅酒漿(라주장): 술자리를 차리다.
❖新炊(신취): 새로 지은 밥.
❖間(간): 섞다.
❖黃粱(황량): 메좁쌀. 황소미(黃小米).
❖主人(주인): 여기서는 위팔처사를 가리킨다.
❖累(루): 연거푸.
❖十觴(십상): 열잔. 많은 술잔을 가리킨다.
❖一擧累十觴(일거루십상): 연거푸 술을 열 잔이나 들이킨다.
❖子(자): 그대. 위팔처사를 가리킨다.
❖故意(고의): 옛 친구의 정.
❖世事兩茫茫(세사량망망): 세상일이 그대나 나나 아득하다. 세상일과 우리 둘 다 장차 어찌 될는지 헤아릴 수 없다.

당시 삼백수 정선
唐詩三百首精選

손 수 편
조규백 역주

당시삼백수 두보 위팔처사에게 주다 동영상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