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동파

소동파시선-황주유배와 사환후기 "흰 술 소리 없이 주루룩 가슴에 쏟아 붓고"

728x90
반응형
SMALL

 사진 이수형

소동파시선-황주유배와 사환후기

 

. 황주(黃州)유배

 

1. 진주에서 문일민과 이별주를 마시고 손잡고 강둑위에서 이 시를 짓다

陳州與文郎逸民飮別, 攜手河堤上, 作此詩

 

흰 술 소리 없이 주루룩 가슴에 쏟아 붓고

취하여 강둑을 거닐며 나의 근심을 털어본다.

봄바람 세차게 돌개바람 되어 휘돌고

강물은 아득히 오이넝쿨처럼 맴돌아 흐른다.

 

그대는 돌아갈 생각하여 파협(巴峽)을 꿈꾸고

나는 황주에 도착하지 않아도 괴로움 말할 수 있다.

이 몸 만나고 헤어짐 어찌 끝이 있겠는가

차마 서글픈 노래로 궁지에 처한

초나라 죄수를 배우지는 못하겠네.

 

白酒無聲滑瀉油, 醉行堤上散吾愁.

春風料峭羊角轉, 河水渺緜瓜蔓流.

君已思歸夢巴峽, 我能未到說黃州.

此身聚散何窮已, 未忍悲歌學楚囚.

(20)

 

[주석]

 

. 文郎逸民(문랑일민): 문일민(文逸民). 이름은 무광(務光). 동파의 아우 자유(子由)의 사위이다. 그러므로 문서방[文郎]이라고 불렀다.

. 料峭(요초): 으슬으슬하다. 쌀쌀하다. 날카롭다. 세차다.

. 羊角(양각): 돌개바람. 회오리바람.

. 渺緜(묘면): 아득하게 멀다.

. 楚囚(초수): 초나라의 포로. 좌전(左傳), 성공9(成公九年), “진나라 제후[진경공晉景公]가 군대 부서를 시찰하다가 종의를 보고 남방의 모자를 쓰고 묶여 있는 자는 누구인가?’라고 묻자, 담당자가 정나라 사람이 바친 초나라의 포로입니다라고 했다. 제후가 그를 풀어주라고 했다(晉侯觀於軍府. 見鍾儀, 問之曰, ‘南冠而縶者誰也?’ 有司對曰, ‘鄭人所獻楚囚也.’ 使稅之).” 초수(楚囚)는 궁지에 처한 사람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해제]

 

진주(陳州)에서 소철(蘇轍)의 사위 문일민과 이별주를 마시고 봄바람 불 때 강둑을 거닐며 지은 시이다. 황주 유배지에 도착하기 전에 그 괴로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에서, 앞으로 다가올 유배생활에 대해 어느 정도 긴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겠다.

 

* 저자 소개

 

소동파

 

소동파(1036-1101, 음력)는 중국이 낳은 최고의 문인 중 한 사람이다. 그가 살았던 북송(北宋)은 중국의 문예부흥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 시기로 자유스런 사고와 개성을 중시하였으며, 유불도(儒佛道)사상이 합류(合流)하는 기풍이 있었다. 그는 시, (), 산문, () 등의 문학영역은 물론 서법, 회화, 의학, 경학(經學), 요리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또한 정치가, 행정가이기도 하였다. 그는 스스로 유가(儒家)임을 자부하면서도 도가와 불가사상에 대해서 개방적이면서 포용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소동파는 송시(宋詩)의 전형적인 특성을 확립시킨 시인이며, 산문에 있어서는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이다. 그의 문학은 삼라만상을 포괄할 정도로 방대한 스케일을 지니고 있고, 삶의 지혜를 밝혀 낼 만큼 깊으며, 자유분방하다. 또한 신선함, 통찰력, 그리고 창조성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사고가 깊고 학문의 넓이와 깊이가 있으며 기지가 있다. 사대부의 의식세계를 반영하고 있으며, 유불도 사상이 합류되어 있고, 인생철리가 함유되어 있다. 거시적 미시적 안목을 두루 갖춘 그의 문학예술은 시대를 초월하여 독자에게 깊은 감명을 준다.

 

 

* 역자 소개

 

(曹圭百) sudongpo@hanmail.net

 

1957년생. 한국외국어대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중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 중문과 방문학인(訪問學人), 복단대학(復旦大學) 중문과 박사후연구원(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중국 사천대학(四川大學) 고적연구소(古籍硏究所) 연구학자(硏究學者)를 역임했다.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연수원에서 중국고전을 배웠으며, 이어서 한학자 고() 연청(硏靑) 오호영(吳虎泳) 노사(老師)께 한학(漢學)을 사사하였다. 성균관대, 숭실대의 강사와 제주관광대학의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

 

󰡔史記世家()󰡕(共譯), 圖書出版 까치, 1994.

󰡔濟州觀光中國語會話(, )󰡕(共著), 白山出版社, 2000.

󰡔千字文註解()아들을 위한 千字文󰡕, 曹圭百 註解, 白山出版社, 2002.

󰡔譯註蘇東坡散文選󰡕, 蘇東坡 著, 曹圭百 譯註, 白山出版社, 2005.(2011, 수정판)

󰡔蘇東坡詞選󰡕, 蘇東坡 著, 曹圭百 譯註, 文學知性社, 2007.

󰡔蘇東坡詩選集()텅 비니 만 가지 경지가 다 담기네󰡕, 蘇東坡 著, 曹圭百 譯註, 學古房, 2010.

󰡔唐詩三百首精選󰡕, 孫洙 編, 曹圭百 譯註, 學古房, 2010.(2012, 개정판)

󰡔千字文註解()아들을 위한 천자문󰡕, 周興嗣 著, 曹圭百 譯註, 白山出版社, 2011.

󰡔蘇東坡 詩 硏究󰡕, 曹圭百 著, 亦樂出版社, 2012.

󰡔소동파평전 - 중국의 문호 소식의 삶과 문학󰡕, 왕수이자오 , 조규백 역, 돌베개, 2013.

󰡔한국 한문학에 끼친 소동파의 영향󰡕, 조규백 저, 명문당, 2016.

 

논문

 

「󰡔詩經 鄭風󰡕愛情詩小考

千古名作 蘇東坡 前後赤壁賦文學世界 探索

宋朝蘇東坡與朝鮮朝金秋史之比較硏究以蘇東坡海南島與金秋史濟州島流配文學爲中」「蘇東坡海南島 流配詩 探索등 다수

 

 

 

 

[지도: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