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08)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규백 교수 천자문 주해 8 果珍李柰요 菜重芥薑이라 果珍李柰요 菜重芥薑이라 과일로는 오얏과 능금을 귀하게 여겼고, 나물로는 겨자와 생강을 소중히 여겼다. 果珍李柰 【훈음】 ∙ 果(과): 과실 과. 열매 과. 나무의 먹을 수 있는 열매. 木實. 永眞書千字文는, “菓”. ∙ 珍(진): 보배 진. 보배(寶也). 귀중하게 여기다. 소중히 여기다. ∙ 李(리): 오얏 리. 자두 리. ∙ 柰(내): 능금 내. 버찌 내. 멋 내(古語). 【주해】 ‣ 오얏에 관한 왕융(王戎)의 이야기: 왕융은 죽림칠현(竹林七賢) 가운데 한 사람인데, 아주 인색하였다. 世說新語(세설신어)․儉嗇(검색):(진晉의) 왕융은 좋은 오얏나무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을 팔 때 남이 그 종자를 얻을까봐 걱정하여, 항상 그 씨에 구멍을 뚫어 놓았다(王戎有好李, 賣之恐人得其種, 恒鑽其核). ‣ 竹林.. 조규백 교수 천자문 주해 7 劍號巨闕이요 珠稱夜光이라 劍號巨闕이요 珠稱夜光이라 검(劍)은 거궐(巨闕)을 일컫고, 구슬은 야광주(夜光珠)를 칭송한다. 劍號巨闕 【훈음】 ∙ 劍(검): 칼 검. 양날이 있는 것을 ‘검(劍)’이라 하고, 한쪽 면만 날이 있는 것을 ‘도(刀)’라고 한다. 무기의 일종. 용례) 조선검. 일본도. ∙ 號(호): 일컬을 호. 이름 호. ∙ 巨(거): 클 거. 크다(大也). ∙ 闕(궐): 큰 집 궐. 대궐 궐. 빌 궐. 【주해】 ‣ 거궐(巨闕)은 보검의 이름이다. 춘추시대 월(越)나라 왕 윤상(允常)은 뛰어난 칼을 만드는 기술자 구야자(歐冶子)로 하여금 보검 5자루를 제조하게 했다. 바로 거궐(巨闕), 순구(純鉤), 담로(湛盧), 막야(莫耶), 어장(魚腸)이다. 그 가운데서도 거궐을 최상으로 친다. ‣ 여기서 참고로 와신상담(臥薪嘗膽)의 .. 조규백 교수 천자문 주해 6 金生麗水요 玉出崑崗이라 金生麗水요 玉出崑崗이라 직역 금(金)은 여수(麗水)에서 나고, 옥(玉)은 곤륜산에서 난다. 金生麗水 【훈음】 ∙ 金(금): 금 금. 황금 금. 쇠 금. ∙ 生(생): 날 생. 살 생. 나다(出也). ∙ 麗(려): 고울 려. 美也. ∙ 水(수): 물 수. 【주해】 ‣ 여수(麗水)는 운남성(雲南省) 여강부(麗江府)에 있는데, 일명 ‘금사강(金沙江)’이라 한다. 이곳에서는 금(金)이 물밑의 모래가운데서 나는데, 현지인은 그것을 일어 사금(砂金)을 채취한다고 한다. 玉出崑崗 【훈음】 ∙ 玉(옥): 구슬 옥. 美石. ∙ 出(출): 날 출. ∙ 崑(곤): 산 이름 곤. 곤륜산(崑崙山). 뫼 곤. ∙ 崗(강): 언덕 강. 山脊. 구릉 강. 어떤 판본에는 “岡”. 【주해】 ‣ 곤강(崑崗): ‘곤륜산’을 말하는데, .. 조규백 교수 천자문 주해 5 雲騰致雨요 露結爲霜이라 雲騰致雨요 露結爲霜이라 구름이 (하늘로) 올라가서 비를 이루고, 이슬이 맺히어 서리가 된다. 雲騰致雨 【훈음】 ∙ 雲(운): 구름 운. ∙ 騰(등): 오를 등. 오르다(升也). 솟을 등. ∙ 致(치): 이룰 치. 이르게 하다. ∙ 雨(우): 비 우. 【주해】 ‣ 設文解字(설문해자): “구름은 산천의 기운이다(雲, 山川氣也).” ‣ “산과 못에서 구름이 나오고 구름이 엉기어 날면 비를 이루니, 이는 구름과 비가 서로 따름을 말한 것이다.”(註解千字文) ‣ “한 잔의 찻잔을 들고서 바다 갈매기 소리를 듣는다”라는 말이 있다. 한잔 차의 물은 샘물에서 왔을 것이며, 그 샘물은 빗물에서 왔을 것이며, 그 빗물은 구름에서 왔을 것이다. 그 구름은 바닷물이 증발하여 생긴 것이다. 그리고 그 바닷가에는 갈매기가 날고.. 천자문 주해 4 閏餘成歲요 律呂調陽이라 閏餘成歲요 律呂調陽이라 閏餘成歲 【훈음】 ∙ 閏(윤): 윤달 윤. 여분, 나머지 윤. 여분의 달(餘分之月). ∙ 餘(여): 남을 여. ∙ 成(성): 이룰 성. ∙ 歲(세): 해 세. 【주해】 ‣ 閏餘(윤여): 양력의 경우, 지구의 태양 일 주기가 365일 5시간 49분 46초이기 때문에 한 해를 365일로 정할 경우 그 남는 시간이 모여 4년에 하루씩 더하여 이를 2월 말에 넣는다. 음력의 경우, 354일, 혹은 355일로 하여 그 남는 시간이 3년에 무려 한 달이나 된다. 이에 대략 3년마다 한 해에 윤달을 넣어 남는 시간을 조정하고 있다...중략. 律呂調陽 【훈음】 ∙ 律(률): 음률 률. 곡조 률. 陽의 음률. 陽律. 법 률. 가락 률. ∙ 呂(려): 음률 려. 곡조 려. 陰의 음률. 陰呂. ∙.. 천자문 주해 3 寒來暑往이요 秋收冬藏이라 寒來暑往이요 秋收冬藏이라 寒來暑往 【훈음】 ∙ 寒(한): 추울 한. 찰 한. ∙ 來(래): 올 래. ∙ 暑(서): 더울 서. ∙ 往(왕): 갈 왕. 추위가 오면 더위는 가고, 가을에는 (농작물을) 거두어들이고 겨울에는 저장한다. 【주해】 ‣ 해가 하늘을 한 바퀴 돌면 하루가 되고, 달이 29일 운행하면 나머지(奇)가 있는데, 해와 서로 만나 한 달을 이룬다...중략. 秋收冬藏 【훈음】 ∙ 秋(추): 가을 추. ∙ 收(수): 거둘 수. 거두다(斂也). ∙ 冬(동): 겨울 동. ∙ 藏(장): 저장할 장. 간직할, 보관할 장. 감출 장. 【주해】 ‣ “만물은 봄에 나고 여름에 자라며, 가을에 성숙하면 거두어들이고, 겨울에 숙살(肅殺: 추워서 초목을 말라죽게 함)하면 닫아 저장해 둔다.”(㰡[層解千字文㰡] .. 천자문 주해 2 日月盈昃이요 辰宿列張이라 日月盈昃이요 辰宿列張이라 해와 달은 차고 기울며, 별과 별자리들은 벌려있고 펼쳐져 있다. 日月盈昃 【훈음】 ∙ 日(일): 해 일. 날 일. ∙ 月(월): 달 월. ∙ 盈(영): 찰 영. 여기서는 (달이 둥글게) ‘가득 찬 것’을 의미한다. ∙ 昃(측): 기울 측. 해 기울어질 측. 여기서는 해[태양]가 (서쪽으로) ‘기우는 것’이다. 【주해】 ‣ 盈仄(영측): 달이 둥글다가 기운다[이지러진다]. 여기서 기운다는 말은 중의적이다. 위치상으로 정점에 이르렀다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것과 모양이 둥근 상태에서 조금씩 이지러지며 변해 가는 것을 동시에 가리킨다. ...중략. 辰宿列張 【훈음】 ∙ 辰(진): 별 신. 北辰[북극성]. 다섯째 지지. ∙ 宿(수): 별자리 수. 列星. 별 수. 잘 숙. 묵을 숙. ∙.. 천자문주해 1 天地玄黃 이요 宇宙洪荒 이라 天地玄黃이요 宇宙洪荒이라 하늘은 검붉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 황막하다.天地玄黃 【訓音(훈음)】 ∙ 天(천): 하늘 천. 지극히 높아 그 위가 없다(至高無上). ∙ 地(지): 땅 지. ∙ 玄(현): 검을 현. 가믈 현. 짙은 남색으로 검은 색에 가까운 색. 검은 색으로 붉은 빛이 감돈다(黑而有赤色). 심오하다. 오묘하다. 심원(深遠)하다. 깊다. 유원(幽遠)하다. 현묘(玄妙)하다. 유현(幽玄)하다. ∙ 黃(황): 누를 황. 宇宙洪荒 【訓音(훈음)】 ∙ 宇(우): 하늘 우. 집 우. 공간개념. 上下四方. 東西南北上下. 세계. ∙ 宙(주): 하늘 주. 집 주. 시간개념. 往古來今. 무한한 시간. ∙ 洪(홍): 클 홍. 大也. 넓을 홍. ∙ 荒(황): 거칠 황. 천지창조 이전의 혼돈상태(草昧也). 황량하다.. 이전 1 ··· 94 95 96 97 98 99 100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