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세대 학술문화처 박물관 3

728x90
반응형
SMALL








마패 , 통부. 조선시대


상평통보
휴주치고
조선시대
朝鮮畤代
Coin, Brass Joseon Dynasty




필묵통
筆暴筒
Portable Inkpot with Brush, Cupronikel Joseon Dynasty

먹통
白銅墨简
조선시대
朝鲜時代
Portable Inkpot, Cupronikel Joseon Dynasty


열쇠 자물쇠
ISAA/CH
Locks, Metal
Joseon Dynasty





청동팔찌
MANCI
Bracelet, Bronze


청동용꾸미개
고려시대
高麗時代
Dragon Ornament, Bronze Goryeo Dynasty



쌍용무늬청동거울
Mirror with double dragon design, Bronzi Gorveo Dynastv


쌍용무늬청동거울
Mirror with double dragon design, Bronzi Gorveo Dynastv






침통
針簡
SAMAICH
Needle Case, Cupronikel Joseon Dynasty






공주 석장리유적
Gongju Seokjangni site
• 충청남도 공주시 석장리동(옛 장기면 장암리 석장마을)
• 금강 변 하안단구 위 대지에 펼쳐진 야외유적, 해발 11-14m
• 1964년~1974년 발굴(10차)
• 중기, 후기구석기시대
• 멘석기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긁개, 밀개, 톱니날석기, 새기개, 슴베석기, 좀돌날석기, 석기제작터, 집자리, 꽃가루, 숯 출토
" 남한 최초의 구석기유적으로 연세대학교박물관이 발굴했다. 우리 나라 역사를 구석기시대로 끌어올렸으며, 10차에 걸친 지속적인 발굴조사를 하여 한국구석기학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고 발전 시키는데 이바지했다. 이 유적을 조사하며 석기 이름 등 대부분의 구석기 용어를 순우리말로 지어 누구나 쉽게 구석기문화를 이해 할 수 있도록 꾀하였다. 사적 334호




제천 점말 용굴유적
Jecheon Jeommal Yong Cave site
• 충청북도 제원시 상각엔 포컬리 김말
• 식회안 질벽 아랫부분에 이루어진 수능동굴, 해발 4.30m c 1973년-1980년 발굴(자)
• 중기, 후기구식기시대
+ 행식기, 맨력인모, 예술품, 고인류화서, 고등물화식,











독무덤
토기를 널로 쓴 무덤을 가리킨다. 보통 항아리나 독을 두개 맞붙여 만들며, 한개 또는 세개 이상으로 이뤄진 것도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퍼져 있다.
독무덤은 작은 언덕만한 것에서부터 별로 드러나지 않는 것까지 크기가 여러 가지이다. 여기에서는 민패토기, 송국리형토기, 두들긴무늬토기, 돌도끼, 청 동기, 철기, 구슬 등의 껴묻거리가 나온다.
이로 보아 독무덤은 청동기시대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초기철기시대에 많 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또 널의 크기와 꺼묻거리의 종류가 다양하여, 높은 신분의 사람부터 어린애까지 묻혔던 무덤으로 보인다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의 독무덤은 부여 송국리, 영암 내동리, 광산 신 창리, 김해 회현동, 은율 운성리 등에서 발견 조사되었다. 그리고 암사동과 석 촌동, 가락동, 공주 웅진동•봉정리, 부여 능산리• 염창리 등에서 박제시대의 옹관이 발굴•조사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일부 섭지방에서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 전시되고 있는 독널은 백제시대의 것이며, 전라남도 나주에서 출도 되었다. 이것의 길이는 2.6m로 우리나라에서 반견된 독무덤 가운데 비교적 큰 것이다.




십이지
Chinese Zodiac Animals
취소호랑이 토끼 용 뱀 말양 원숭이닭 개 돼지
手五蛋市辰巴午未中西戌交
자축인료 진사오미신유술해





옥표을 가리켜 다섯 가지 덕을 지닌 돌이라고 한다.
온화함은 인
투명함은 진급
순수하고 낭랑한 음은 지세
굽히지 않음은 의
주변의 것들에 해를 끼치지 않음은 공정소
'설문해자 허신(58~147)



군자들은 반드시 허리에 옥을 찬다.
군자는 허리에 찬 옥이 서로 부딪혀서 울리는 소리를 들으면서 다닌다.
그럼으로써 스스로 사악하고 비뚤어진 마음이 들지 않게 하였다.
「예기 , 「옥조







옥은 다듬지 않으면 그릇을 이루지 못하고,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도계를 알지 못한다.
「예기 , 「학기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