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촌 세브란스 병원 내원후 연세대내 에 있는 연세대 박물관 3충 , 2층 전시를 관람한다.



진• 변한 토기와 가야 토기
기원전 3세기 초부터 삼국이 정립되는 기원후 3세기 후반까지 존재했던 삼한은 한강 이남 지역에서 성립했던 마한• 진한 • 변한을 일컫는다. 영남 지역에 진한• 변한이 뚜렷하게 모습을 나타낸 시기는 기원전 1세기부터이다. 이 시기는 새로운 토기 제작기술로 만든 와질(토기를 기준 으로 두 시기로 구분된다. 전기 와질토기 시기의 주요 토기는 짤은목단지 • 쇠별손잡이단지 • 주머니단지 • 바리 • 항아리• 굽다리접시[두형토기] 이다.
토기의 질이 무문에서 와진로 바뀌고, 형태 변화도 일어난다. 쇠불손잡이단지와 주머니단지는 후기로 접어드는 2세기 후반에 사라지고, 화로헝토기• 큰입긴목굽다리단지 • 곧은 입급다리단지로 대체된다. 동일한 종류에서도 질과 문양. 형태 등에서 진한 지역(경주• 포항• 대구• 경산• 울산)과 변한 지역(김해 • 장원• 부산)의 토기는 차이를 보인다. 진한 지역 출토 생활 토기는 대부분 와질이지만, 변한 지역은 연질이 대부분이다.
가야 토기는 3세기 후반을 전후한 시기에 출현하여, 기원후 S세기가 되면 뚜렷한 지역적 특징을 지니면서 신라 토기와 구분된다. <전시장글>

금관가야 양식 토기
금관가야는 김해 • 부산 지역에서 성장. 발전한 최초의 가야국이다. 3세기 후반 도입된 새로운 토기 제작기술로 섭씨 1,1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운 도질:T토기가 생산되기 시작한다. 4세기 전반에는 화로형토기가 커지고 반원형 손잡이가 부자되며. 표면에 격자무늬가 새겨진 등근밀단지의 양이 많아진다. 4세기 후반에는 와질토기가 점차 사라지고 도질토기의 종류와 수량이 많아지며, 아가리가 밖으로 꺾이는 굽다리접시(외절구 연고배)가 처운 나타난다. 화로형토기 • 바리형그릇받침 • 동형그릇받침 • 손잡이단지 • 짧은목단지 • 두귀단지 등 다양한 토기가 생산된다. 외설 구연고배와 손잡이 달린 화로모양토기는 금관가야의 특징적 토기이다. S세기 전반이 되면 금관가야의 특징적인 토기가 사라지고, 신라게 토기 들이 많이 늘어난다. 기증된 금관가야 양식 토기에는 손잡이가 없고 삼각집선문을 세진 바리형그릇받침 • 곧은입단지 • 큰입작은단지 • 곧은입급 다리단지 • 뚜껑 등이 있다. 금관가야 말기의 토기이거나, 김해의 외곽인 진영 일대에 분포했던 토기로 추정된다.


4세기 후반 아라가야 양식 토기
아라가야에는 다른 지역보다 이른 시기에 '도질토기 제작기술' 이 들어와 금관가야 와 함께 당시 영남 지역을 대표하는 토기가 만들어졌는데, 비슷한 토기가 아라가야 지역 밖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I 자와 닮은 형태의 통형굽다리접시와 굽다리에 베풀어진 다양한 모습의 작은 투공, 기하무늬가 새겨진 뚜껑, 삿무늬가 있는 얇은 기벽의 가벼운 단지, 아가리가 바깥으로 휘어진 화로형토기가 특징이다.

5세기 전반 아라가야 양식 토기
아라가야 토기의 특징적 모습이 성립하는 시기로 목에 물결무늬를 새긴 긴목단지와
상하일렬투창굽다리접시 • 삼각투창굽다리접시 • 굽다리손잡이단지 • 작은그릇 받침• 큰입작은단지 • 바리형그릇받침 같은 토기가 등장한다. 특히 상하일렬투창 굽다리접시와 긴목단지 • 큰입작은단지• 바리형그릇받침, 그리고 크고 선이 굵은 물결무늬는 이후 아라가야 토기를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삼각투창굽다리 접시 등 일부 토기들은 소가야 토기와 유사성을 보인다.

5세기 전반 소가야 양식 토기
자료가 매우 적어 성격 파악이 어렵지만, 아라가야 토기와 유사성을 보여준다. 특히 통형굽다리접시나 컵형토기 • 짧은목단지 • 바리형 그릇받침은 기본 형태는 물론 투공의 형태까지 같은 시기 아라가야 토기와 구분이 쉽지 않다. 한편 진주• 산청• 마산 등지에서는 삼각투창굽다리접시 • 수평구연항아리 • 수평구연바리형그릇받침 같은 소가야 토기의 이른 시기 형태가 나타난다.

5세기 후반 아라가야 양식 토기
아라가야의 특징적인 토기문화가 화립되는 시기이다. 이전까지 남아 있던 4세기의 요소는 대부분 소멸한다. 주요 토기는 다리 가운데가 잘록한 상하일렬무장의 굽다리접시, 둥근 몸체에 단추 모습의 손잡이가 달린 뚜껑. 컵형토기, 더욱 길고 넓게 벌어진 목을 지닌 긴목단지, 납작한 몸체에 짧은 아가리의 곧은 입굽다리 단지, 항아리받침부가 큰 바리 형그릇받침이 있다. 아라가야 토기의 가장 독특한 요소인 불꽃무늬투창이 있는 토기는 이 시기에 가장 유행한다.



6세기 전반 아라가야 양식 토기
6세기 전반에는 아라가야 토기 전반에서 퇴화 현상이 나타난다. S세기까지 굽다리 집시 다리에 유행했던 상하일렬투장이 감소하면서 일단투창으로 대체되는 형태 변화는 물론, 화염문투장의 윗부분을 선으로 표현하는 형태적 퇴화 모습도 동시에 일어난다. 또한 토기 굽기의 불량과 종류의 감소도 눈에 띈다. 소가야계 토기와 대가야계 토기가 많아지면서 아라가야 토기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6세기 전반 소가야 양식 토기
6세기부터 점자 쇠되기에 접어든다. 분포 범위도 급격히 줄어 진주• 고성 • 사전 의령 지역으로 좁아진다. 대표 기종이었던 무개식삼각투창굽다리접시의 소멸.
수평구연바리형그릇받침의 감소, 전 기종의 소형화와 세부 형태의 회화 현상이 나타난다. 한편 뚜낑접시와 이단투장의 굽다리접시, 납작밑손잡단지 같은 토기 가 새로 나와 이후 중심 기종이 된다. 신라 토기와 대가야 토기가 점차 늘어 나며.
이 영향을 받은 변형된 소가야 토기도 나타난다.


6세기 전반 신라 토기
6세기 전반에는 토기의 기벽이 얇아지고 다리와 몸체의 비율이 점점 같아지며. 기종이 단순해지고 문양이 통일된다. 새로운 토기로 겹아가리긴목항아리와 함, 뚜껑이 나타난다. 집아가리긴목항아리 • 뚜껑바리 • 일단투창굽다리접시 • 무투장 굽다리접시 등의 토기가 주요 기종이 된다. 6세기 전반 초에는 뚜껑에 ' X' 형 또는 세로로 여러 중 그은 집선무늬가 풀어졌고, 이는 신라 외곽 지역에도 미쳐 낙동강 동안의 넓은 지역에서 확인된다.

6세기 중엽 대가야 양식 도기
0세기 전반보다 조형이 많고 장식이 적어졌다. 대표 토기'는 상하인 발두장, 일단투장.
원형투공, 무투장의 굽다리접시와 대형 바리형그릇받침. 그리고 작은그릇받침•
원통형그릇받침• 뚜껑접시 • 긴목뚜껑단지 • 짧은 목단지 • 병 • 손잡이달린연질항아리 등이다. 원형투공급다리접시 • 무두창굽다리접시 • 젖꼭지 형손잡이뚜껑 • 병 등의 새로운 토기도 등장 했다. 고령을 중심으로 합천 • 의령• 진주• 산정• 함양• 거장• 장수 등 남강 이북 지역과 고성 • 함안• 창원• 진영 등지에서도 출토 된다.

6세기 전반 대가야 양식 토기
6세기 전반의 대가야 토기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분포 범위가 가장 넓다. 낙동강 이서와 남강 이북, 정호강 유역은 물론 하동 • 순천 • 광양• 남원 • 장수 • 임실 등 호남 동북 지역에까지 분포한다. 지역적 특성은 대가야 중심지인 고령에서 멀어질 수록 차이가 크다. 대표 토기로 다투장의 굽다리접시와 뚜껑집시 • 짧은 목단지 • 뚜껑긴목단지 • 긴목단지 • 바리형그릇받침 • 원통형그릇받침 • 손잡이바리 • 굽다리 손잡이바리 그리고 고사리장식의 굽다리손잡이단지 등이 있다.

6세기 후반 신라 토기
6세기 후반에는 바리형그릇발 침과 원통형그릇만 침이 사라지고, 6세기 전반에 등장한
겹아가리긴목향아리 • 유개화 • 무부장급다리집시 • 곧은 입급다리뚜껑단지 • 빙 등이 유행한다. 긁다리전시의 다리가 현저히 깔아져 재와 다리 높이의 비율이 비슷해지며 무상 크기가 줍고 작은 네모꼴이 되는 등 이러 기종에서 이진의 전형적 들이 무너지는 변화가 나타난다. 이 시기의 신라 토기 대부분은 무늬가 없고, 베품어진 무늬도 상각질선문과 반원집문 등 단순하다.

통일신라 토기
신라가 삼국을 동일하면서 삼국의 문화는 하나로 풍화되었고., 신라 토기는 대동강 이남의 모든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백제와 고구려의 토기 생산체제가 무너지고, 신라 토기 생산체제로 전환되었다. 풍일 이전의 신라 토기를 기반으로 하여 고구려 • 백제 토기의 요소가 더해지고, 당나라 도자기와 금속 용기의 형태 및 문양의 종류와 배치 방식 등을 수용하여 성립 변화하였다. 동일신라 토기는 일상 토기. 분묘 부장 토기, 화장한 후 뼈를 담는 장골기 등으로 구분되고, 왕경 ES1과 지방에서 사용한 토기의 종류와 문양 장식에 차이가 있다. 왕경의 일상 토기는 종류가 다양하고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베풀어 화려하지만, 지방의 일상 토기는 종류가 단순하며 대부분 무늬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