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月夜
달밤
杜甫
오늘 밤 부주(鄜州)에서 저 달을
아내는 홀로 바라보겠지.
멀리서 철부지 아들딸 가여워하나니
(너희들은) 장안(長安)의 이 아버지를 그리는 엄마의 마음 모르리라.
향기로운 안개에 구름 같은 머리가 젖고
맑은 달빛에 옥 같은 두 팔이 차갑겠소.
어느 때나 투명한 창문커튼 가에 기대어
함께 달빛 아래 마주보며 눈물 흔적 말리울까.
今夜鄜州月, 閨中只獨看.
遙憐小兒女, 未解憶長安.
香霧雲鬟濕, 淸輝玉臂寒.
何時倚虛幌, 雙照淚痕乾.
「주석」
* 천보(天寶) 15년(756) 5월, 두보(杜甫)는 가족을 이끌고 부주(鄜州)에 피난하였다. 8월, 단신으로 숙종(肅宗)에게 달려가다가 도중에 반군(叛軍)의 포로가 되어 장안(長安)에 갇히었다. 이 시는 두보가 장안에서 부주에 살고 있는 가족을 그리워하여 지은 시이다.
. 鄜州(부주): 지금의 섬서성 부현(富縣).
. 閨中(규중): 규방에 있는 사람. 여기서는 두보의 아내를 가리킨다.
. 憶長安(억장안): 장안에 있는 이 아버지[두보 자신]를 그리다.
. 淸輝(청휘): 여기에서는 ‘맑은 달빛’을 가리킨다.
. 虛幌(허황): 투명한 창문커튼.
. 5-6구: 두보 자신이 달을 보며 집안을 생각함으로써 아내가 자신을 그리는 정경이 연상된다.
. 玉臂寒(옥비한): 달빛 아래에서 남편을 생각하느라 오래 서 있어 두 팔이 차갑다.
작가 소개: 두보(杜甫): 712-770
자는 자미(子美)이고, 원적(原籍)은 양양(襄陽: 지금의 호북성 襄樊)이다. 그의 13세조(世祖)는 두예(杜預)로서, 경조 두릉(京兆杜陵: 지금의 섬서성 長安縣 동북) 사람이다. 그러므로 두보는 자칭 “두릉포의(杜陵布衣)”라고 했다. 증조부는 공현(鞏縣: 지금의 하남성 鞏義)로 이사를 갔다. 두보는 일찍이 장안성 남쪽 소릉(少陵) 부근에 거주한 적이 있다. 그래서 또 자칭 “소릉야로(少陵野老)”라고 하여, “두소릉(杜少陵)”이라고 불렸다. 후에 검교공부원외랑(檢校工部員外郞)을 맡은 적이 있어, 후세에 “두공부(杜工部)”라고 칭해졌다. 두보는 중국 고대의 가장 위대한 시인으로, “시성(詩聖)”이라고 불리었다. 그의 시는 당시의 정치 ․ 군사 ․ 사회의 상황을 전면적으로 반영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시사(詩史)”라고 했다. 후인들은 그와 이백(李白)을 병칭하여 “이두(李杜)”라고 했다.
* 역자(譯者) 소개: 조규백(曺圭百)
한국외국어대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중문과에서 석사 ․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만대학(臺灣大學) 중문과 방문학인, 중국 복단대학(復旦大學) 중문과 박사후연구원(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중국 사천대학(四川大學) 고적연구소(古籍硏究所) 연구학자, 중국 남경대학(南京大學) 중문과 연구학자를 역임했다.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연수원에서 중국고전을 배웠으며, 제주대, 제주산업정보대학의 강사와 제주관광대학의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 성균관대, 숭실대에서 학부생과 교육대학원의 강의를 맡고 있다.
저역서로 『중국의 문호 소동파』(역주), 『소동파산문선』(역주), 『소동파사선(蘇東坡詞選)』(역주), 『제주관광중국어회화(상하)』(공저), 『史記世家(하)』(공역), 『천자문주해(前) - 아들을 위한 천자문』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蘇軾詩硏究」(박사논문), 「『詩經 ․ 鄭風』 愛情詩 小考」, 「출사와 은퇴 간의 갈등과 그 해소 - 蘇軾詩의 한 단면」, 「陶淵明시에의 동일화 양상과 陶詩의 창조적 수용 - 蘇軾詩의 한 단면」, 「蘇軾詩에 나타난 현실세계와의 괴리와 그 해소」 등 다수가 있다.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백(李白) 당시삼백수정선 贈孟浩然 맹호연께 드리다 흰 머리 되어선 구름떠도는 송림... (0) | 2018.05.05 |
---|---|
이백(李白) 월하독작 (月下獨酌) [당시 삼백수정선] 꽃 사이에 한 병 술을 놓고 짝할 사람 없이 홀로 술을 따른다. (0) | 2018.04.03 |
당시 삼백수 위응물 "낙엽이 텅 빈 산에 가득하리니 어디서 그대의 자취 찾을 것인가". (0) | 2017.10.03 |
두보 (杜甫) "청산은 부질없이 정만 자꾸 더해주네" 당시 삼백수 정선. (0) | 2017.08.12 |
왕유, 산거추명 山居秋暝, 빈 산에 막 비 내린 뒤 저녁 무렵 날씨는 가을기운 완연하다. (0) | 2017.08.07 |
맹호연 孟浩然 "연잎은 바람결에 향기를 보내오고" 당시 삼백수 정선 (0) | 2017.07.23 |
당시 삼백수 정선 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 孟浩然 맹호연. (0) | 2017.07.20 |
당시 삼백수 정선 두보 (杜甫), 망악 望嶽, 가슴이 활짝 열리게 층층 구름 일어나고 (0) | 2017.07.17 |
당시 삼백수 정선 "月下獨酌 달빛 아래 홀로 술을 마시며" (0) | 2017.07.13 |
당시 삼백수 정선 "저물어 푸른 산을 내려오니 산의 달[山月]도 나를 따라 돌아오네." (0) | 2017.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