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동파

소동파 시선 1. 납일에 고산을 유람하고 혜근, 혜사 두 스님을 방문하다 臘日遊孤山訪惠勤惠思二僧, 산을 벗어나 뒤돌아보니 구름이 나무를 가렸고 다만 솔개가 높이 떠 절 탑 위를 맴돌고 있..

728x90
반응형
SMALL

사진 이수형

 

四. 항주통판(杭州通判)시절

        

1. 납일에 고산을 유람하고 혜근, 혜사 두 스님을 방문하다

臘日遊孤山訪惠勤惠思二僧

 

하늘엔 눈이 내리려는 듯 호수 가득 구름 덮였고

누대는 언뜻언뜻 드러났다 사라졌다, 산도 보일 듯 말듯.

물 맑아 바닥 돌까지 환히 보여 노니는 물고기의 수까지 셀 수 있고  

깊은 숲엔 인적 없고 새들만 지저귄다. 

 

납일(臘日)인데 집에 돌아가 처자식과 어울리지 않고

명목은 도승(道僧)을 만나러 나섰건만 실은 스스로 즐기기 위해서지.

도승이 사시는 곳 어드메요? 

보운산(寶雲山) 앞길 구불구불하구나.

 

고산(孤山)은 고절(孤絶)하니 누가 여막 짓고 살려 하리오

도승이 높은 도 닦으시니 산도 외롭지 않으리. 

대나무 얽어 만든 집에 창문에 종이 바르니 깊고 따뜻하여

갈옷 두르고 풀방석에 앉은 채 주무시기도 한다. 

 

날씨  춥고 갈 길 멀다고 하인들은 마냥 걱정하지만

멍에 챙기어 돌아가길 재촉하니 저물기 전이라. 

산을 벗어나 뒤돌아보니 구름이 나무를 가렸고

다만 솔개가 높이 떠 절 탑 위를 맴돌고 있구나. 

 

이번 유람 담박한 대로 뿌듯한 즐거움 남아 있어

집에 돌아오니 꿈속의 일인 듯 황홀하기만 하구나. 

이 감흥 흐려질까 봐 서둘러 달아나는 것을 뒤쫓아 시를 지어 보나니

맑은 경치 사라져버리면 다시는 그려내기 어려우리.

 

天欲雪, 雲滿湖,  樓臺明滅山有無.  

水淸石出魚可數,  林深無人鳥相呼.  

臘日不歸對妻孥,  名尋道人實自娛.  

道人之居在何許,  寶雲山前路盤紆.  

孤山孤絶誰肯廬,  道人有道山不孤.  

紙窗竹屋深自暖,  擁褐坐睡依團蒲.  

天寒路遠愁僕夫,  整駕催歸及未晡.  

出山迴望雲木合,  但見野鶻盤浮圖.  

玆遊淡薄歡有餘,  到家恍如夢蘧蘧.  

作詩火急追亡逋,  淸景一失後難摹.  

(권7)

 

「주석」

 

. 臘日(납일): 납일. 납평. 납향(臘享)하는 날. 납향(臘享)은 이날 그 한 해에 지은 농사 형편과 그 밖의 일을 여러 신에게 고하는 행사. 한대(漢代)에 동지(冬至) 후 세 번째 술일(戌日)을 납일이라고 하였는데, 송대(宋代)에도 한 대(漢代)의 제도를 사용하였다. 

. 孤山(고산): 항주 서호(西湖) 안에 있는 나지막한 산.

. 惠勤惠思(혜근혜사): 북송시대 항주의 두 시승(詩僧) 이름.

. 明滅(명멸): 홀연 보였다가 홀연 안보였다 한다.

. 道人(도인): 도가 있는 사람. 도승(道僧)으로 여기서는 혜근(惠勤), 혜사(惠思) 두 스님을 가리킨다.

. 寶雲山(보운산): 서호의 북쪽에 있는데, 오대(五代) 오월왕(吳越王)은 여기에다 보운사(寶雲寺)를 지었다.

. 團蒲(단포): 포단(蒲團). 부들로 둥글게 틀어 만든 깔고 앉는 방석. 부들 방석.

. 紙窗竹屋深自暖, 擁褐坐睡依團蒲(지창죽옥심자난, 옹갈좌수의단포): 대나무 얽어 만든 집에 창문에 종이 바르니 깊고 따뜻하여, 갈옷 두르고 풀방석에 앉은 채 주무시기도 한다. 절에 들어서서 본 풍경.

. 晡(포): 신시(申時). 오후 3시-5시.  

. 浮圖(부도): 절의 탑.

. 蘧蘧(거거): 꿈이 깬 후 놀라 움직이는 모양.

. 亡逋(망포): 달아나는 것. 도망하는 것. 

 

「해제」

 

36세(熙寧 4년, 1071년) 겨울, 항주통판(杭州通判) 시절에 지었다. 동파는 절을 유람하기도 좋아하였는데, 이는 그가 불교 신자이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자연을 좋아하는 그의 성품이 그윽한 풍치의 절과 그 주위의 경관을 더욱 좋아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은 겨울철 항주통판(杭州通判)으로 부임(희녕熙寧4년, 1071년, 36세, 11월)한지 얼마 후, 눈이 내리려는 날씨에 고산(孤山)의 두 스님을 찾아가는 행로에서 돌아오기까지 전 과정의 경관과 작자의 감흥이 잘 나타나 있는 시이다. 경치를 중심으로 묘사하고 있으면서도 유람으로 인한 자신의 내면적인 흐뭇함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배어나고 있다. 

작자는 행로 중의 경관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눈이 내리려는 날씨라 구름이 덮여 있는 호수와 그 구름 때문에 누대와 산이 보였다 안보였다 하는 모습을 그림 그리듯 묘사하고 있다. 제6구의 “유람의 명목은 도승을 만나러 가는 것이지만 실은 스스로 유람을 즐기기 위해서였다”는 시구에 명시된 것처럼 동파는 산수의 유람이 이번 나들이의 진정한 목적이라고 하여 그 즐거움을 만끽하고 있는 속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제9, 10구 “고산(孤山)은 외떨어진 곳이라 오두막 짓고 살 사람도 없으련만, 도승(道僧)이 높은 도 닦으시니 산도 외롭지 않으리”는 의미가 깊다. 산 이름이 고산(孤山)인데서 착안, 고(孤)의 의미를 잘 살려서 그 반대적 의미로 ‘도승이 도를 닦으시니 산도 외롭지 않으리’라고 하였다.

마지막 두 구에서는 감흥의 순간이 지나가 버리면, 맑은 경치의 순간형상을 포착하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이것은 “사물의 묘함을 구하는 것은 마치 바람을 붙들어 매고, 그림자를 붙잡는 것과 같다(求物之妙, 如繫風捕影)”(「答謝民師書」)라는 자신의 창작론과 부합된다. 바로 시가를 지을 때의 순간적 형상의 포착이 어렵고도 중요하다는 시가창작의 법칙을 잘 형상화시키고 있다.

* 저자소개: 蘇東坡 (소동파)

소동파(蘇東坡: 1036-1101)는 본명이 소식(蘇軾)이며, 부친 소순(蘇洵), 아우 소철(蘇轍)과 더불어 “삼소(三蘇)”라 불린다. 그는 중국 북송시대의 정치가, 예술가로서도 유명하지만, 천재적 자유정신과 재주, 꾸준한 노력, 그리고 역경을 이겨내는 정신으로 훌륭한 문학작품을 창작해낸 대문호로서 더욱 알려졌다.

자유정신과 이성적 사유, 그리고 개성을 중시했던 북송의 문화와 문학정신, 시대정신이 그에게 역력히 구현되어 있다. 문학의 경우, 그는 시, 사(詞), 산문, 부(賦) 등 여러 장르에 모두 뛰어나 각기 시대의 최고봉이다.

또한 그는 경학(經學)․고고학․음식 만들기․술의 제조․차(茶)의 품평․서예․그림, 그리고 예술감식 등 다방면에 걸쳐 뛰어난 당대 최고의 지성인이었다.

 

* 역주자 소개

曹圭百 (조규백)

韓國外國語大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成均館大 중어중문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臺灣大學 중문과 訪問學人, 중국 復旦大學 중문과 박사후연구원(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중국 四川大學 古籍硏究所 硏究學者를 역임했다. 그리고 民族文化推進會 국역연수원을 졸업했으며, 성균관대, 제주대, 제주산업정보대, 제주교대 강사를 역임했다.

現在 濟州觀光大學 중국어통역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실적으로는 󰡔中國의 文豪 蘇東坡󰡕(역주), 󰡔소동파산문선󰡕(역주), 󰡔제주관광중국어회화(상, 하)󰡕, 󰡔史記世家(下)󰡕(공역), 󰡔千字文註解(前) - 아들을 위한 천자문󰡕 등의 역저서와, <󰡔詩經․鄭風󰡕 愛情詩 小考>, <蘇軾詩硏究>, <出仕와 隱退間의 갈등과 그 解消 - 蘇軾詩의 한 斷面>, <陶淵明에의 同一化樣相과 陶詩의 創造的 受容 - 蘇軾詩의 한 斷面>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소동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동파시선 – 사환전기(仕宦前期), 늙어감에 새 달력 볼까 두렵고, 서릿발과 눈발은 굳이 병든 나그네의 수염에 달라붙는다.  (0) 2020.01.01
소동파 사선, 117. 南鄕子 늙어가는 이 몸 몇 번이나 더 봄을 맞이할까  (0) 2019.12.21
소동파 시선 오직 저녁 갈가마귀 만이 나그네 뜻을 아는 듯놀래 푸드덕 날아가니 설화(雪花) 천 조각이 찬 나뭇가지에서 떨어진다.  (0) 2019.12.18
소동파 시선 7. 정호조를 보내며 送鄭戶曹. 강물은 백보홍에서 출렁이며 소리쳐 흐르고,  (0) 2019.12.13
소동파 사선 80. 水調歌頭, 황주 쾌재정(黃州快哉亭)에서 안개비 보니가물가물 외로운 기러기가 사라졌었지.  (0) 2019.12.09
소동파 사선 63. 念奴嬌 적벽 회고 인생은 꿈같은 것 한 잔의 술을 강속의 달에 붓는다.  (0) 2019.12.09
소동파 사선 7. 行香子 강 마을에서 손을 마주 잡을 때 바지에는 매화처럼 눈발이 나부꼈지.  (0) 2019.12.09
소동파 사선 30. 江城子 내리는 눈(雪)은 그대 머무르란 뜻이나 그댄 머물지 않고 그대 떠난 이후론 맑은 기쁨 적어지네.  (0) 2019.12.07
소동파사선 80. 水調歌頭 안개 멀리 산색이 보일락 말락 하더라 한 점의 호연지기 천리의 상쾌한 바람이여  (0) 2019.12.07
소동파사선 蘇東坡詞選 73. 醉翁操 취옹(醉翁)만이 취중에 자연의 음악인줄 아네. 달 밝고 바람 이슬 아름다워  (0) 2019.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