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長安遇馮著 장안(長安)에서 풍저(馮著)를 만나고 위응물(韋應物)。
15. 長安遇馮著
장안(長安)에서 풍저(馮著)를 만나고
韋應物
손님이 동방에서 왔는데
옷에는 파릉(灞陵)의 비를 맞았네.
“나그네여 무엇 하러 오셨소?”
“산에 가서 나무 찍을 도끼 사러 왔지요.”
무성한 꽃은 마침 활짝 피었고
날던 제비는 막 새끼를 품었다.
그때 헤어지고 이제 이미 새봄이라
그대 희끗희끗 귀밑털 몇 올이나 늘었는가.
客從東方來, 衣上灞陵雨.
問客何爲來, 采山因買斧.
冥冥花正開, 颺颺燕新乳.
昨別今已春, 鬢絲生幾縷.
이 시는 대력(大曆) 11년(776) 봄에 풍저가 관동(關東)으로부터 장안에 왔을 때 지었다. 평담한 가운데 친구지간의 깊은 정을 묘사하고 있다. 은거하기 위해 나무하는데 필요한 도끼를 사러 온 친구를 만나고 다시 새봄이 되었다. 그대 흰 귀밑털이 몇 올이나 늘었는가를, 넌지시 묻고 있다.
❖馮著(풍저): 위응물의 친구. 하간(河間: 지금의 하북성 河間)사람. 일찍이 낙양위(洛陽尉), 좌보궐(左補闕)을 역임했고, 위응물(韋應物)과 사이가 좋아 그와 창화(唱和)한 시가 많다.
❖灞陵(파릉): 파릉. 패릉(覇陵). 옛 현(縣) 이름. 한 문제(漢文帝)의 릉(陵)으로 지금의 서안시(西安市) 동쪽에 있다. 그 땅이 파릉(灞陵)에 처해 있기 때문에 이름을 얻었다.
❖采山(채산): 산에 들어가 나무를 하다. 산을 개간하다. 이 구는 산림에 귀의한다는 뜻이 있다.
❖冥冥(명명): 무성한 모양.
❖颺颺(양양): 새가 나는 것을 형용한다. 날아오르는 모양.
❖燕新乳(연신유): 제비는 막 새끼를 깠다. 제비는 막 새끼를 품었다. 이 구에 대해 趙昌平은 ‘새로 태어난 제비는 이미 날개를 펴고 나른다.’고 해석했다.
❖昨別(작별): 지난해 겨울 풍저가 장안에 온 적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말했다.
❖鬢絲(빈사): 귀밑털 사이의 백발.
당시 삼백수 정선
唐詩三百首精選
손 수 편
조규백 역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