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삼백수

3. 望嶽(망악) 태산을 바라보며 杜甫(두보).

koreafood 2021. 7. 22. 04:48
728x90
반응형
SMALL
사진 이수형


3. 望嶽
태산을 바라보며
杜甫

태산(泰山)은 그 모습이 어떠한가?
제(齊)나라와 노(魯)나라에 걸쳐 푸르름이 끝없이 이어졌구나.
조물주는 신령스런 기운을 여기에 다 모았고
(산의) 음지와 양지는[북쪽과 남쪽은] 어두움과 밝음을 갈랐다.

가슴을 활짝 여니 층층 구름 일어나고
눈시울을 크게 뜨니 돌아가는 새들 눈에 들어온다.
언젠가 반드시 저 정상에 올라서
뭇 산들이 작음을 한 번 굽어보리라.

岱宗夫如何, 齊魯靑未了.
造化鍾神秀, 陰陽割昏曉.
盪胸生曾雲, 決眥入歸鳥.
會當凌絶頂, 一覽衆山小.



태산을 바라보며 정상에 올라가고픈 마음이 생겨나는 청년 두보의 씩씩한 뜻과 기백과 포부를 표현하고 있다. 태산을 올라가지 못하고 멀리 바라보며 지은 시이다. 언젠가는 태산의 정상에 올라 그 아래 작은 산들을 굽어보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嶽(악): 여기서는 동악(東嶽) 태산(泰山)을 가리킨다. 이 시는 개원(開元) 24년(736), 두보가 제(齊)․조(趙) 지방을 유람할 때 지었다. 중국의 태산은 해발 1520여m로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중국의 상징적인 산이다. 중국의 역대 여러 임금이 봉선(封禪)의식을 거행한 곳이기도 하다. 이는 두보가 멀리서 태산을 바라보며 지은 시이다. 역자가 2006년 현장을 탐방해 보니, 태산에서 장대한 기상을 느낄 수 있었다. 다만 정상 주변의 인공 건축물은 없느니만 못한 것 같다.
❖岱宗(대종): 동악 태산의 별칭으로, 오악(五嶽)의 으뜸이므로 대종(岱宗)이라 부른다. 지금의 산동성(山東省)에 있다. 岱(대): 대산 대. 태산의 별칭. 宗(종): 마루. 산마루. 가장 높은 곳.
❖齊魯(제로): 제(齊)나라와 노(魯)나라, 춘추시대의 두 나라이름. 태산의 남쪽은 노나라이고, 태산의 북쪽은 제나라이다. 후에 산동성 일대를 제로(齊魯)라고 칭하였다.
❖未了(미료): 마치지 아니하다. 무궁무진.
❖造化(조화): 대자연. 자연조화. 자연계의 주재자. 조물주.
❖鍾(종): 모을 종.
❖造化鍾神秀(조화종신수): 대자연은 신기(神奇)함과 수려함을 모두 태산에 집중하게 했다는 의미이다.
❖陰陽割昏曉(음양할혼효): 음지와 양지는 어두움과 밝음을 갈랐다. 태산은 아주 높고 커서 햇빛이 비치는 곳은 양지가 되고, 햇빛이 비치지 못하는 곳은 음지가 된다.
❖盪(탕): 씻을 탕. = 蕩.
❖曾: “층(層)”과 통한다.
❖決(결): 터질 결.
❖眥(제): 눈초리 제. 흘길 자.
❖決眥(결제): 눈시울을 크게 뜨고.
❖會當(회당): =會須. 반드시 ......해야 한다. 會(회): 모름지기. 반드시.
❖凌(릉): 오르다.
❖絶頂(절정): 최고봉.
❖一覽衆山小(일람중산소): 󰡔맹자(孟子)󰡕, 「盡心上」, “공자는 동산에 올라서는 노나라가 작다고 여기었고, 태산을 올라서는 천하를 작다고 여겼다(孔子登東山而小魯, 登泰山而小天下).”

당시 삼백수 정선
唐詩三百首精選

손 수 편
조규백 역주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