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주해 23(千字文 註解) 罔談彼短(망단피단)이요 靡恃己長(미시기장)하라
사진 이수형
천자문 주해 23
罔談彼短이요 靡恃己長하라
망 담 피 단 미 시 기 장
직 역 |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과시하지 마라. |
罔談彼短
【훈음】
罔(망):말 망. 경계하는 말. 하지 말라. 없을 망.
談(담):이야기할 담. 말하다(言也). 말씀 담. 생각대로 말하다(縱 言).
彼(피):저 피. 자신에 상대하여 말한 것이다.
短(단):짧을 단. 결점, 허물 단. 허물(過也).
【주해】
“군자는 자신의 행실을 닦는 것을 급히 여기기 때문에 남의 장단점을 점검할 겨를이 없다. 맹자는 말하길 ‘남의 불선(不善)을 말하다가 장차 후환(後患)을 어찌 하려는가?’(孟子曰, 言人之不善, 當如後患何)라 하였으니, 마땅히 깊이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註解千字文)
그러나 상대방에 대한 사회정의를 위한 고발은 인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신은 잘못이 없는데 인권유린을 당하는 것 등에 대해 다른 사람의 잘못을 지적하는 것은 옳은 일이다.
靡恃己長
【훈음】
靡(미):말 미. 없을 미. 하지 말라. 금지하는 말. 부정사. 말라(無 也). 쓰러질, 쏠릴 미.
恃(시):믿을 시. 믿고 의지할 시. 자랑한다는 의미이다(矜夸之意). 賴.
己(기):몸 기. 자기 기. 밖에 있는 남에 대하여 안에 있는 자기 자신.
長(장):긴 장. 能也.
【주해】
書經(서경)․商書(상서)․說命中(열명중) - “자신이 장점[善]이 있다고 여기면 그 장점을 잃고, 자신의 재능을 자랑하면 그 공을 잃을 것이다(有厥善, 喪厥善, 矜其能, 喪厥功).”
注:“스스로 장점을 가졌다고 여기면 자신이 더 힘쓰지 않아 덕(德)이 이지러지고, 스스로 재능을 자랑하면 남들이 힘을 바치지 않아 공(功)이 무너진다(自有其善, 則己不加勉而德虧矣. 自矜其能, 則人不效力而功隳矣).” 그러니만큼 자만하지 않아야 된다.
崔瑗(최원), 「座右銘(좌우명)」 -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말하지 말라. 남에게 베풀었으면 삼가 생각하지 말고, 베풂을 받았거든 삼가 잊지를 말라(無道人之短, 無說己之長. 施人愼勿念, 受施愼勿忘).”
최원(崔瑗: 77~142년)은 한(漢)나라 사람으로, 자(字)가 자옥(子玉)이며, 안평(安平: 하북성) 사람이다.
* 타인의 단점과 나의 장점 말하지 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