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주해 8. 과진리내(果珍李柰)요 채중개강(菜重芥薑)이라.
천자문 주해 8.
果珍李柰요 菜重芥薑이라
과 진 리 내 채 중 개 강
직 역 | 과일로는 오얏과 능금[사과]을 귀하게 여겼고, 나물로는 겨자와 생강을 소중히 여겼다. |
果珍李柰
【훈음】
果(과):과실 과. 열매 과. 나무의 먹을 수 있는 열매. 木實. 智永 眞書千字文에는 “菓(과일 과)”.
珍(진):보배 진. 보배(寶也). 귀중하게 여기다. 소중히 여기다.
李(리):오얏 리. 오얏은 자두를 뜻하는 옛말. 자두 리.
柰(내):능금 내. 버찌 내. 멋 내(古語).
【주해】
오얏에 관한 왕융(王戎)의 이야기가 있다.왕융은 죽림칠현(竹林七賢) 가운데 한 사람인데, 아주 인색하였다.
世說新語(세설신어)․儉嗇(검색) - (진晉의) 왕융은 좋은 오얏나무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을 팔 때 남이 그 종자를 얻을까봐 걱정하여, 항상 그 씨에 구멍을 뚫어 놓았다(王戎有好李, 賣之恐人得其種, 恒鑽其核).
죽림칠현(竹林七賢):진(晉)나라 초기에 노자(老子), 장자(莊子)의 허무(虛無)의 학(學)을 숭상하여 죽림(竹林)에 모여 청담(淸談)을 일삼았던 일곱 명의 선비들로, 곧 산도(山濤), 왕융(王戎), 유령(劉伶), 완적(阮籍), 완함(阮咸), 혜강(嵇康), 상수(向秀) 등을 지칭한다.
本草綱目(본초강목) -“오얏은 맛이 시고 달며, 열병(오랫동안 뭉친 열)을 제거하고 뱃속의 오장육부를 조화롭게 한다(李味酸甘, 去痼熱, 調中).” 痼:고질 고.
“내(柰)는 맛이 쓰며, 중초(中焦: 심장과 배꼽 사이)를 보(補)하고, 비장을 고르게 한다(柰味苦, 補中焦, 和脾).” 中焦:위(胃)의 윗부분을 ‘상초(上焦)’, 중간 부분을 ‘중초(中焦)’, 방광의 윗부분을 ‘하초(下焦)’라 한다. 脾(비):비장(脾臟).
柰(내):
1. ‘능금[林檎]’과 동류이다. ‘내(㮈)’라고도 한다.
明(명) 李時珍(이시진), 本草綱目(본초강목)․果二(과이)․柰(내) -“내와 능금(임금)은 한 류로 2종이다. 나무의 열매는 능금과 같으며 큰데, 서역 지역에 가장 많다(柰與林檎, 一類二種也. 樹實皆似林檎而大, 西土最多).”
柰子(내자):능금. 과일의 일종. 오얏[李子]과 비슷한데 육질이 붉으며 맛이 시고 달다. 오늘날의 사과는 능금이 변모 발전한 것이다.
2. 버찌. 조선시대의 천자문 판본에는 ‘멋’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버찌는 대표적인 과일로 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柰’는 능금(사과)으로 보아야 한다.
菜重芥薑
【훈음】
菜(채):나물 채. 먹을 수 있는 풀. 蔬也.
重(중):무거울 중. ↔ 輕. 중히 여길 중. 겹 중.
芥(개):겨자 개.
薑(강):생강 강.
【주해】
本草綱目(본초강목) - “겨자는 맛이 매우며, 신장(腎臟)의 사기(邪氣: 나쁜 기운)를 제거하고, 구규(九竅: 인체의 아홉 구멍)를 순조롭게 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芥味辛, 除腎邪, 利九竅, 明耳目).” 九竅(구규):눈, 코, 귀, 입, 항문, 요도 등의 인체에 있는 9개의 구멍.=구혈(九穴).
“생강은 맛이 매우며, 정신을 맑게 하고, 나쁜 냄새를 제거한다(薑味辛, 通神明, 去臭氣).” 神明(신명):사람의 정신. 臭氣(취기):비위를 상하게 하는 좋지 못한 냄새. 악취.
“겨자는 위장을 따뜻하게 하고 기운을 통하게 해준다. 생강은 정신을 맑게 하고 나쁜 냄새를 제거한다. 채소는 한 종류가 아니지만 이 두 가지를 소중히 여긴다.”(註解千字文)
과일과 채소 중에서 진귀한 것에는 오얏, 능금, 겨자, 생강 따위가 있다. 여기서는 4언시인 관계로 과일, 채소 중에 네 가지만 예로 들었다.
* 과일과 채소